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오용석 (대구지속가능발전협의회) 진상현 (경북대학교)
저널정보
한국기후변화학회 한국기후변화학회지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Vol.11 No.2
발행연도
2020.4
수록면
77 - 93 (17page)
DOI
10.15531/KSCCR.2020.11.2.77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In 1992, the United Nations reached a consensus about sustainable development to avert ecological crises such as climate change. Thereafter, the UN has strongly recommended ‘Local Agenda 21’ at the level of municipalities to solve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In this situation, Korea is regarded as a pioneer because it established the local agenda in advance of other countries. However, there have been few qualitative evaluations of a sustainable system for local agenda 21, while the sustainability of municipalities has been assessed quantitatively many time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ttempted to qualitatively evaluate the sustainable scheme of local agenda 21 targeting the metropolitan cities in Korea. To accomplish the purpose, this study adopted an analytic framework consisting of three sectors: contents, procedure, and evaluation of agenda. Th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Gwangju ranked first in sustainability, followed by Incheon, Ulsan, Daegu, Busan, and Daejeon.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policy implications to strengthen Korean sustainability nationally and locally.

목차

ABSTRACT
1. 서론 : 기후변화 시대의 지속가능성
2. 지속가능발전과 지방의제21
3. 지자체 지속가능성의 평가 모형
4. 지방의제21의 지속가능성 평가
5. 결론 및 정책적 함의
REFERENCES

참고문헌 (26)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453-0005770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