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1. 머리말
2. 임일유 일가의 가계도와 언간의 발ㆍ수신자 관계
3. 화계에 따른 상대경어법 사용 양상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어와 중국 제어의 경어법 문법화 정도에 대한 비교 연구
국어교육연구
2015 .12
‘나’와 ‘저’의 전략적 경어법: ‘나’ 앞에 놓기와 뒤에 놓기
언어과학
2021 .11
일본 출토 고대 목간 : 9세기 지방사회의 쌀의 출납 장부
목간과문자
2017 .06
언간에 나타난 경어법과 관련된 몇 가지 문제
영주어문
2015 .01
18세기 서울 여성 연안이씨(延安李氏)가 안동 하회 며느리로 사는 방식 - 시아버지 류운의 한글 편지를 중심으로 -
여성과역사
2024 .06
묵, 묵默
수필미학
2015 .09
??“手”????取象特征分析
중국어문논총
2020 .01
高麗大學校所藏燕行文獻≪華簡≫淺考
중국어문논총
2018 .01
秦의 ‘新地’ 인식과 점령지 지배
중국고중세사연구
2017 .11
長沙呉簡에 보이는 ‘市布’에 대해서
목간과문자
2017 .12
관용표현 「손을 대다」에 관한 고찰ー일본어와의 대조를 통한 의미 분류를 중심으로ー
日本學硏究
2015 .01
韓中間 對外機密 유지를 위한 諺簡 실용의 한 사례 - 1796년 冬至副使 李亨元이 義州府尹 沈晉賢에게 부친 諺簡 -
장서각
2019 .10
論經說義 敘事解經一一以夏姬之人物敘事 論《左傳》之解經模式
국제언어문학
2020 .04
원오극근 다선일미 연원설 주장에 대한 재고찰
차문화산업학
2021 .09
조선 중기부터 구한말에 이르는 역대 명사들의 진적(眞蹟) 자료 연구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 소장 유묵을 대상으로
동양학
2024 .07
[작품론] “묵 맛”의 시조 미학
시조시학
2021 .03
『松窩雜說』의 필기문학상 위상에 대하여
한국언어문학
2017 .01
요청 부담에 따른 공손표현의 화용적 효과 : 화자의 호감도 및 요청 수락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언어과학연구
2018 .12
『龍龕手鏡』에 수록된 俗音 고찰
한국중어중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7 .04
상황 주체 높임과 ‘–시–’의 기능 변화
언어와 정보사회
2024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