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권진숙 (감리교신학대학교)
저널정보
감리교신학대학교 신학과세계 神學과 世界 第98號
발행연도
2020.6
수록면
217 - 252 (36page)
DOI
10.21130/tw.2020.6.98.217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인간의 삶에서 위기란 피할 수 없는 삶의 실존이다. 이런 인간의 위기는 질병과 죽음의 공포, 예측할 수 없는 수많은 사건과 사고, 자신이 애착을 가지고 있는 대상과의 이별 등을 통해서 우리는 끊임없는 상실의 경험을 한다. 바로 인간의 위기란 상실의 경험이다. 이런 인간의 상실 경험 속에서 기독교인들은 자신이 믿고 있는 신앙체계가 함께 상실되는 경험을 한다. 내가 믿고 있는 하나님이 나에게 왜 이런 고통을 주시는가? 과연 이런 위기속에서 하나님은 나에게 어떤 존재인가? 기독교인들은 위기 상황 속에서 인간의 유한성과 취약성과 신에 대한 질문을 갖게 된다. 따라서 오늘날 전지구적인 코로나바이러스 19 감염병과 같은 위기 상황 속에서 수 많은 스트레스, 위기, 외상의 경험을 하고 있다. 이런 위기 상황 속에서 과연 위기란 무엇인가를 목회신학적으로 성찰해 보고, 피할 수 없는 삶의 실존으로서의 위기를 어떻게 하면 잘 수용하고, 삶의 새로운 방향으로 성장할 수 있는가를 제언할 수 있는 위기 애도 상담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기존의 위기상담이 위기의 정의와 개입에 초점을 맞추었던 것에서 좀 더 거시적인 측면에서 위기를 삶의 실존으로 받아들이고, 고통을 주관적으로 호소하는 내담자들에게 더욱 귀를 기울일 수 있는 위기의 새로운 정의의 필요성을 주장할 것이다. 그래서 위기를 지나치게 병리화하는 진단의 영역을 넘어서서 스트레스, 위기, 외상 모두를 삶의 실존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위기 개념으로 확대하고자 한다. 스캇 플로이드는 이런 확대적 개념의 위기를 적용할 수 있도록 위기상담을 상실이라는 개념을 통해 위기 애도 상담을 제안하고 있다. 필자는 이를 통합적으로 수용하여 위기 애도 상담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위기 애도 상담을 통해 위기 후에 좀 더 우리의 삶이 성장하고 성숙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목회적 돌봄으로서 위기상담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하워드 스톤(Howard W. Stone), 데이비드 스위처(David K. Switcher), 스캇 플로이드(Scott Floyd), 리차드 테데스치(Ricahrd G. Tedeschi)와 로렌스 칼혼(Lawrence G. Calhoun)이 주장하고 있는 위기에 대한 성찰을 시도할 것이다. 이를 통해 위기의 다양한 정의의 가능성과 위기가 성장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는 외상 후 성장 이론의 긍정적 측면을 새로운 위기의 정의로 통합할 것이다. 끝으로 위기를 성장과 성숙의 경험으로 이끌어갈 수 있는 목회적 돌봄을 통해 위기 후의 성장에 초점을 맞추는 새로운 시도가 더욱 필요하다는 주장을 할 것이다.

목차

요약문
Ⅰ. 들어가는 말
Ⅱ. 위기란 무엇인가?
Ⅲ. 위기 후 성장을 위한 위기 애도 상담
Ⅳ.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