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벼리
1. 머리말
2. 한국어 모음추이 가설
3. 몽골어 모음추이 가설에 대한 수정주의적 해석
4. 모음추이 가설의 현재
5. 맺음말
참고 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국어 모음추이의 시기와 원인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어학
2017 .05
제주방언 속의 몽골어 차용어
동악어문학
2017 .02
방송 뉴스를 활용한 일본어 う단과 한국어 ‘ㅜ’와 ‘ㅡ’의 음향음성학적 분석
일본문화학보
2023 .05
17세기 국어의 ㅔ>ㅐ 모음 하강에 대하여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2019 .12
모음 연쇄의 음성적 실현
어문학
2021 .03
英語単母音の日本語外来語表記の傾向分析
일본학보
2015 .01
어말 위치 /ᅩ/의 /ᅮ/ 대체 현상에 대한 문법 항목별 출현빈도 연구
말소리와 음성과학
2020 .03
Reinterpretation of Vowel Space
한국언어학회 학술대회지
2024 .07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의 단모음 발음 오류와 모음조화 간의 상관관계
영주어문
2023 .06
20세기 충남 지역 후설 모음의 특징에 대하여
방언학
2021 .01
Frequency Effect on Vowel Production in English Spontaneous Speech
인문과학연구
2017 .12
중국어 방언 화자에 따른 한국어 모음 연구
한글
2016 .12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모음 공간 음향 특성
한글
2015 .06
이집트인 학습자의 한국어 모음 지각과 산출
말소리와 음성과학
2021 .12
[이 계절의 장편소설] 욕망이라는 괄호 안에는 어떤 이야기가 살고 있는가? : 전경린, 『해변빌라』(자음과모음, 2014)
자음과모음
2015 .03
음모론의 품격 : 김희선, 『라면의 황제』(자음과모음, 2014)
자음과모음
2015 .06
드디어, ‘이후’의 세대론 : 손아람, 『디 마이너스』(자음과모음, 2014)
자음과모음
2015 .06
누가 여성을 노래하는가 : 심진경, 『여성과 문학의 탄생』(자음과모음, 2015)
자음과모음
2015 .06
나 없는 자기, 중심 없는 공동체 : 박준상, 『떨림과 열림: 몸, 음악, 언어에 대한 시론』(자음과모음, 2015)
자음과모음
2015 .06
극우주의를 말하기 앞서 돌아봐야 할 것들 : 박권일 외, 『지금, 여기의 극우주의』(자음과모음, 2014)
자음과모음
2015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