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ABSTRACT
1. 서론
2. 유엔기후변화협약과 젠더 주류화 및 문제제기
3. 분석틀
4. 분석
5. 결론
Reference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유엔기후변화협약 하의 기술-재정 메커니즘 간 기술지원 연계 방안 연구: 정책통합 이론에 기반하여
한국기후변화학회지
2021 .02
국제기후협력 메커니즘을 고려한 한반도 기후기술협력 방안 연구 : 기후기술센터네트워크(CTCN) 기술지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기후변화학회지
2023 .06
자연어 처리를 이용한 국제기구 및 한국 정부의 기후기술 협력 동향 분석
한국기후변화학회지
2024 .06
UNFCCC 하 CTCN/TA 및 GCF 사업의 스케일업 추진현황과 시사점
NIGT Focus
2023 .10
Methylation of CpG sites in C1QTNF1 (C1q and tumor necrosis factor related protein 1) differs by gender in acute coronary syndrome in Han population: a case–control study
Genes & Genomics
2020 .01
UNFCCC 下 기술-재정 메커니즘 활용 가이드라인 : CTCN TA 사업 및 GCF 사업을 중심으로
수시간행물
2016 .11
젠더 차이를 고려한 기후변화 연구 리뷰
한국기후변화학회지
2021 .04
기후기술센터네크워크(CTCN) 기술지원(TA) 분석을 통한 기후기술협력 활성화 방안에 대한 제언
한국기후변화학회지
2019 .06
[부록] UNFCCC 下 기술-재정 메커니즘 활용 가이드라인 : CTCN TA 사업 및 GCF 사업을 중심으로
수시간행물
2016 .11
Examining partnerships in the technical assistance provided by the Climate Technology Centre and Network for enhancing technology development and transfer in alignment with the Paris Agreement
한국기후변화학회지
2024 .10
녹색기후기금의 개도국 기후기술 인큐베이터 및 액셀러레이터 프로그램 설계 요소 도출을 위한 사례 분석 연구
한국기후변화학회지
2021 .04
Climate Change and Indigenous Peoples in Latin America: Focus on Forest Management Projects of the Green Climate Fund (GCF)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0 .10
기술 메커니즘 주기적 평가와 기후기술센터네트워크 외부독립평가의 내용적 연계 고찰 : 정책통합 관점에
한국기후변화학회지
2022 .04
Delivering co-benefits for air quality as part of climate projects in developing countries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1 .10
What Leads to the Success of Climate Technology Centre and Network Pro Bono Technical Assistance?
한국기후변화학회지
2020 .10
2021 기후기술센터·네트워크(CTCN) 기술지원(TA) 사업의 이해
수시간행물
2021 .07
기후기술센터·네트워크(CTCN) 기술지원(TA) 가이드라인
수시간행물
2018 .11
2020 기후기술센터·네트워크(CTCN) 기술지원(TA) 가이드라인
수시간행물
2020 .10
UN기후변화협약 하 기후기술센터네트워크(CTCN) 국가혁신시스템 전문가 회의 결과
수시간행물
2018 .01
파리협정 이행규칙을 반영한, 한국 글로벌 기후기술 협력 전략 수립 연구: 기술이전사업 생애주기 접근법에 기반하여
한국기후변화학회지
2020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