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정원 (고려대학교) 송유진 (고려대학교) 성용준 (고려대학교) 최세정 (고려대학교)
저널정보
SBS 미디어 경제와 문화 미디어 경제와 문화 제18권 제4호
발행연도
2020.11
수록면
7 - 35 (29page)
DOI
10.21328/JMEC.2020.11.18.4.7

이용수

DBpia Top 5%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최근 2년간 이용수 순으로 정렬했을 때
해당 논문이 위치하는 상위 비율을 의미합니다.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국내 노인 인구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다양한 노인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과 효과적인 노인복지 정책의 마련이 시급해지고 있다. 노인은 다른 연령층보다 신체적, 정신적으로 더 취약하며 이러한 문제는 독거노인들에게 더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한편 노인도 적극적으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고자 하는 행태를 보이기도 해 노인을 위한 디지털 기술 기반 케어 제품과 서비스가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노인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AI 스피커에 중점을 두어 노인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AI스피커의 이용 현황과 기능적, 정서적 평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독거노인 사용자는 동거노인에 비해 AI 스피커를 더 많이 이용하고 있었고 정서적 측면에서 더 호의적으로 평가하였다. 정서적 평가에 대한 성별의 차이도 나타났으며, 여성이 AI 스피커에 대해 남성보다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기능적 평가의 경우 주거 형태와 성별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고령화 시대에 많은 주목을 받는 노인 사용자 집단의 AI 스피커에 대한 인식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향후 AI 스피커가 기능뿐 아니라 정서적 측면에서 노인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노인을 위한 사회적 안전망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실무적 함의를 제시한다.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