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머리말
Ⅰ. 서양음악과 식민지조선의 문화
Ⅱ. 백 년 전 시선으로 본 베토벤
Ⅲ. 베토벤 이미지의 고착화
맺음말: 베토벤과 우리의 삶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L. V. Beethoven의 창조적 음악 생애에 대한 C. G. Jung의 분석심리학적 고찰 및 상담적 함의
연세상담코칭연구
2020 .03
[베토벤 탄생 250주년] 베토벤의 생애와 음악: 탄생 250주년을 맞이하여
지식의 지평
2020 .05
바람속의 베토벤
숙명문학
2018 .10
베토벤, 인간과 성인의 사이 어디쯤
월간에세이
2020 .06
“정신적 예술”로서 독일음악 정체성 접근- 괴테, 헤겔, 베토벤을 중심으로
괴테연구
2019 .01
음악의 심리적 영향
기독교교육정보
2019 .06
Language and Music
인문언어
2019 .01
고전음악동화를 활용한 음악극 활동 사례 연구
한국문예창작
2016 .01
부산지역 음악 생산자와 소비자의 인식 조사를 통한 음악비평 활성화 방안
항도부산
2019 .01
『조선음악』을 통해서 본 1950~60년대 북한의 민족음악유산 연구 양상
통일인문학
2020 .12
[시인의 마을에서] 화가와 베토벤을 훔친 선유도
월간에세이
2024 .09
20세기 초 한국 음악의 감성과 채동선 음악예술의 문화사적 가치
한국문학과 예술
2017 .12
음악신학에 근거한 음악선교에 관한 연구
한국기독교신학논총
2019 .04
해방기 부산지역 음악매체 『음악주보』
한국문학논총
2022 .12
루터의 음악신학과 예배에서의 음악사용
장신논단
2016 .12
隋·唐代 禮樂 속 樂의 인식 변화
동국사학
2018 .01
음악평론가 김관과 식민지 근대 ‘음악’의 의미(1)
구보학보
2020 .01
1930년대 식민지 조선의 동양음악론 : 동양음악과 서양음악의 관계 논의를 중심으로
역사연구
2022 .09
디지털 시대, 칸트의 무관심적 감상이 갖는 의미: YouTube 음악 영상물에 대한 감상자의 댓글을 중심으로
동서철학연구
2020 .01
21세기 영상 미디어에 구현된 전통음악 프로그램의 특징과 의미—풍류대장(JTBC, 2021), 조선판스타(MBN, 2021)를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
2024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