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조윤영 (이화여자대학교)
저널정보
역사학연구소 역사연구 역사연구 제40호
발행연도
2021.1
수록면
181 - 214 (34page)
DOI
10.31552/jh.2021.01.40.181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연구는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 12. 17.-1827. 3. 26.)이 처음으로 한국 청중에게 알려진 1920년 전후를 중심으로, 그가 어떤 이미지로 우리에게 다가와 지금까지 서양음악을 대표하는 인물로 남아있는지를 당시의 신문, 잡지, 음악회 관련 자료 등의 문서들과 인쇄물들을 수집, 분류하여 우리 문화 안에서 면밀하게 분석한 음악사회학적 시도이다.
지금으로부터 100여 년 전 동경(東京) 유학생들이 경성에서 베토벤의 탄생일에 맞춰 탄생기념 음악회를 개최하며 식민지조선의 음악계에 그의 이름을 알린 이래, 베토벤은 청각 장애라는 고난을 이겨내어 서양음악계에서 음악가의 절대적 위치를 만들어낸 인물이자 음악을 통해 인류애와 인간승리의 메시지를 이루어낸 위인의 이미지로 각인되어, 현재도 우리 문화 전반에서 가장 위대한 음악가라는 위치를 지키고 있다.
한국 음악학계에서 베토벤에 대한 연구는 그의 생애와 작품에 집중되어 있었다. 이 논문은 그가 탄생한 지 250년이 지난 이 시점에도, 타문화의 음악가인 베토벤이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위인으로 남아있는지를 ‘수용’이라는 주제 안에서 이해하기 위해, 식민지조선의 문화에서 다양한 매체들이 베토벤을 어떻게 생각하고 부각시켰으며, 그 이미지가 어떻게 고착되었는지 확인한다.

목차

국문초록
머리말
Ⅰ. 서양음악과 식민지조선의 문화
Ⅱ. 백 년 전 시선으로 본 베토벤
Ⅲ. 베토벤 이미지의 고착화
맺음말: 베토벤과 우리의 삶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