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장석영 (서울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양예슬 (서울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윤준영 (서울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윤재문 (서울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배우경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건강증진센터) 김춘영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김주영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이기헌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저널정보
대한가정의학회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10 No.2
발행연도
2020.1
수록면
116 - 122 (7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연구배경: 갑상선과 신장은 체내 여러 대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장기로, 갑상선기능과 신기능의 상관관계에 대한 기존 연구들에서, 만성 신질환에서 갑상선기능저하의 높은 유병률이 주로 보고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인구표본의 대표성이 확보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갑상선기능저하에 따른 사구체여과율을 분석함으로써, 만성 신질환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방법: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하여 갑상선 검사를 받은 만 19세 이상 성인 중, 갑상선질환 치료 중이거나, 갑상선기능항진, 중추성 갑상선기능저하, 비갑상선 질환 등이 고려되는 대상자를 제외한 5,250명을 분석대상으로 단면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평가 사구체여과율 60 mL/min/1.73 m2 미만일 경우 만성 신질환으로 정의되었다. 대상자를 정상군, 불현성 갑상선기능저하군, 명백한 갑상선기능저하군으로 나누어 성별, 연령대별 만성 신질환 유병률을 분석하였고,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만성 신질환의 보정교차비와 95% 신뢰구간을 산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단변량 분석 결과, 남녀 모두와 특히 65세 이상 노년층에서, 갑상선기능이 저하될수록 만성 신질환의 유병률은 높게 나타났다.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불현성 갑상선기능저하군은 정상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adjusted odds ratio [aOR], 1.78; 95% confidence interval [CI], 0.82–3.87). 명백한 갑상선기능저하군은 정상군에 비해 5.90배 높은 만성 신질환의 보정교차비를 보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aOR, 5.90; 95% CI, 1.73–20.15). 결론: 명백한 갑상선기능저하는 신기능저하와 관련이 있으며, 만성 신질환의 독립적인 위험인자로 고려될수 있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