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구독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Abstract
1. Introduction
2. Research methods and process
3. Analysis of keywords in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using topic modeling
4.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research analysi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 through visualization technique
5.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초록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 동향 분석
한민족문화연구
2022 .12
한국어 교육에서의 현실발음 교육 : 발음 교육과 형태 교육의 구분
인문학연구
2022 .06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현실발음 교육 내용 연구
국어교육연구
2021 .06
현실 발음 교육 내용과 현장 적용에 관한 한국어 교사 인식 연구 - 초점집단면접법을 활용하여 -
이중언어학
2024 .03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교재의 개발 방향 연구
어문론집
2022 .03
한국어 발음 교육에서의 정확성과 유창성에 대한 새로운 접근 - 표준 발음과 현실 발음을 중심으로 -
어문론집
2022 .09
표준 발음법과 현실 발음 검토를 통한 한국어 발음의 이해 - 이진호, 『한국어의 표준 발음과 현실 발음』, 아카넷, 2012 -
이화어문논집
2020 .01
한국어 습득 과정에서 나타난 이중모음 발음 오류 양상 및 특성: 우즈베키스탄 한국어 중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2022 .06
한국어 발음교육의 요소와 범위
한국민족문화
2016 .02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불안 요인 연구
한국민족문화
2021 .03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의 성과와 과제
어문논집
2020 .01
発音指導の前後による日本語学習者の発音の変化
일어일문학
2021 .08
한국어 학습자의 발화 유창성에 대한 한국어 교원의 인식 양상 연구
국어국문학
2018 .09
‘Xㅣ+어Y’ 음운환경에서의 표준 발음에 대한 타당성 검토
국어교육연구
2019 .10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음절말 자음군 발음 분석
이중언어학
2024 .03
음성인식 프로그램 ‘네이버 클로바노트’를 활용한 한국어 학습자의 자가 발음평가 사례 연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023 .05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발음 영역 문항 분석
우리말글
2015 .06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발음 교육 방안
새국어생활
2015 .03
AI 음성 인식 기술을 활용한 중국어 발음 교육 연구 -중국어 교육용 ITS를 중심으로-
철학∙사상∙문화
2023 .01
한국어 음성학 응용 연구의 성과와 전망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발음 교육과 발음 습득 연구를 중심으로 -
한말연구
2020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