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현재 전승되는 국립국악원과 이충선, 지영희, 김점석 대풍류들의 악곡 구성과 출현음, 음계, 장단수와 마루수, 그리고 요성의 위치와 출현 횟수 그리고 선율 진행을 비교 분석한 연구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립국악원의 대풍류 악곡 구성은 긴염불, 반염불, 삼현타령, 느린허튼타령, 중허튼타령, 자진허튼타령, 굿거리, 자진굿거리, 휘모리-당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충선의 대풍류 악곡 구성은 긴염불, 반염불, 삼현도드리, 별곡타령, 느린허튼타령, 자진허튼타령, 굿거리, 당악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영희의 대풍류 악곡 구성은 염불타령, 반염불, 삼현타령, 느린헛튼타령, 중허튼타령, 잦인허튼타령, 느린굿거리, 잦인굿거리, 휘모리로 구성되어 있다. 김점석의 대풍류 악곡 구성은 염불타령, 반염불, 삼현도도리, 염불도드리, 타령, 별곡타령, 늦은허튼타령, 자진허튼타령, 굿거리, 자진굿거리, 당악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주자별로 대풍류의 악곡 구성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출현음은 이충선의 반염불, 자진굿거리, 지영희의 자진굿거리, 김점석의 긴염불, 반염불, 삼현도드리, 굿거리가 다른 연주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출현음을 사용하여 연주하였음을 알 수 있었고, 국립국악원의 느린허튼타령, 자진굿거리, 당악이 다른 연주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출현음을 사용하여 연주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음계는 네 명의 연주자 모든 악곡 중 이충선의 별곡타령과 지영희의 삼현타령을 제외한 모든 악곡에서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충선의 별곡타령 제 9~22장단과 지영희의 삼현타령 제 9~22장단을 제외한 네 명의 연주자 모든 악곡에서 동일하게 나타났다. 넷째, 장단수와 마루수는 반염불과 느린허튼타령, 중허튼타령, 자진허튼타령에서 국립국악원과 지영희가 동일하게 나타났고 국립국악원과 지영희의 나머지 악곡과 이충선, 김점석의 모든 악곡의 장단수와 마루수는 다르게 나타났다. 다섯째, 요성의 위치와 출현 횟수는 연주자마다 다르게 나타났고 이를 통해 주로 요성하는 음정을 알아본 결과 긴염불만 모든 연주자가 공통적으로 F음을 요성한 것으로 나타났고 다른 악곡들은 모두 연주자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atively examine the currently performed daepungryu (bamboo wind instrument) music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and some individual musicians, such as Lee Chung-seon, Ji Yeong-hee and Kim Jeom-seok, focusing on its music structure, used sound, scale, jangdan number, maru number, yoseong (vibrating sound)"s position and used number, and melodic progress. Study finding are as follows: First, the music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consists of gin-yeombul (long Buddhist prayer), ban-yeombul (semi Buddhist prayer), samhyeon taryeong, gutgeori, jajin gutgeori, huimori and Dangak. The daepungryu music of Lee Chung-seon consists of gin-yeombul (long Buddhist prayer), ban-yeombul (semi Buddhist prayer), samhyeon dodeuri, byeolgok taryeong, neurin (slow) heoteun taryeong, jajin heoteun taryeong, gutgeori and Dangak. The daepungryu music of Ji Yeong-hee consists of yeombul taryeong, ban-yeombul (semi Buddhist prayer), samhyeon taryeong, neurin (slow) heoteun taryeong, jung heoteun taryeong, jajin heoteun taryeong, neurin (slow) gutgeori, jajin gutgeori and huimori. And the daepungryu music of Kim Jeom-seok consists of yeombul taryeong, ban-yeombul (semi Buddhist prayer), samhyeon dodeuri, yeombul dodeuri, taryeong, byeolgok taryeong, neuzeun (delayed) heoteun taryeong, jajin heoteun taryeong, gutgeori, jajin gutgeori and Dangak. Therefore, the structure of daepungryu music is different by its performers. Second, regarding used sounds, Lee Chung-seon"s ban-yeombul (semi Buddhist prayer) and jajin gutgeori, Ji Yeong-hee"s jajin gutgeori, and Kim Jeom-seok"s gin-yeombul (long Buddhist prayer), ban-yeombul (semi Buddhist prayer), samhyeon dodeuri and gutgeori use relatively broad sounds. Whereas the National Gugak Center"s neurin (slow) heoteun taryeong, jajin gutgeori and Dangak use relatively narrow sounds. Third, regarding scales, all the four performers use the same scale in their music, except Lee Chung-seon"s byeolgok taryeong and Ji Yeong-hee"s samhyeon taryeong. Lee Chung-seon"s byeolgok taryeong and Ji Yeong-hee"s samhyeon taryeong use different scales in their 9~22th jangdans, respectively. Fourth, regarding jangdan number and maru number, the National Gugak Center and Ji Yeong-hee are the same in their ban-yeombul (semi Buddhist prayer), neurin (slow) heoteun taryeong, jung heoteun taryeong and jajin heoteun taryeong. Whereas other music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and Ji Yeong-hee, and all the music of Lee Chung-seon and Kim Jeom-seok are different in the number of jangdan and maru. Fifth, regarding yoseong"s position and used number, all the songs of the four performers are different. Regarding the tune in which yoseong (vibrating sound) is used, all the performers commonly use yoseong in the F sound of gin yeombul (long Buddhist prayer), whereas their other songs use it in different pos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