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DBpia Top 5%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국문초록
Ⅰ. 들어가며
Ⅱ. 자기 규율을 통해 자기혐오를 강화시키는 사회
Ⅲ. 자기존중을 위한 전제로서의 인정
Ⅳ. 결론을 대신하여: 사랑·권리·연대라고 하는 인정의 형식들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소설『82 년생 김지영』을 거울로 비춰 본 중국 ‘바링허우’ 여성의 삶과 문화적 재현
중국어문학논집
2020 .06
중국 자이융밍(翟永明) 시의 ‘검은 밤의 의식’과 죽음 콤플렉스 ―연작시 “여인”을 중심으로
유라시아연구
2024 .09
재미 국제결혼여성의 다방향적 인정투쟁— ‘나도 한국의 딸’과 ‘모범적 소수자’를 넘어 초국적 여성연대로 —
사림
2023 .04
신여성과 패션 그리고 오스카 와일드의 미학론
19세기 영어권 문학
2018 .08
엘리자벳 쉬슬러 피오렌자 ‘여성교회’ 개념을 사용한 문화변혁적 공동체 모델: 한국적 ‘여성교회’를 꿈꾸며
신학논단
2020 .06
재일사회와 유교문화의 공과(功過) - 가부장적 유교문화에 대한 재일여성의 비판과 극복 담론을 중심으로 -
일본어문학
2022 .08
1930년대 중국소비에트구의 여성운동
사림
2017 .01
Women's Employment, State Legal Protection of Women's Economic Rights, and Gender Prejudice: Evidence from 52 Countries
Korea Observer
2015 .03
여성의 차별적 이미지 재현과 성차별 언어 표현의 양상: 2014~2019년 영화를 중심으로
사회언어학
2021 .09
한일 근대 여성작가의 탄생과 정체성 연구
어문론집
2016 .06
1950년대 ‘직업여성’ 담론을 통해 본 여성들의 일과 결혼 : 정비석의 『여성전선』, 『세기의 종』을 중심으로
한국문학과 예술
2017 .09
근대 계몽기 신문 소재 논설의 여성문제와 여자교육 담론의 분포와 의미
인문과학연구
2021 .09
여성 서사의 전통: 1994년과 2019년 영화 『작은 아씨들』 연구
영어영문학연구
2021 .11
1930년대 ‘집 나간 여성’의 계급 횡단과 여성 해방의 (불)가능성 - 『인형의 집을 나와서』와 『고향』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연구
2019 .12
일본 내 한국 현대여성문학 번역과 영향 연구 -『82년생 김지영』을 중심으로-
일본문화학보
2023 .05
김기림 시의 여성인식 변모양상 연구
비평문학
2015 .06
‘여성혐오’의 문학문화사(II)- 1898~1910년을 중심으로
석당논총
2017 .01
Rural Women’s Right and Images during Late Middle Ages Focusing on the Distaff Gospel
Madang: Journal of Contextual Theology
2021 .06
동아시아 열녀담론 재고
우리문학연구
2016 .07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