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Introduction
2. Method
3. Results
4. Discussion and Conclusion
Reference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중국공산당의 延邊 朝鮮人사회 장악과정과 그 의의 : 국공내전기 토지개혁과 建政공작을 중심으로
동양사학연구
2015 .06
The Merger of /e/ and /ɛ/ in Seoul Korean Tracing Speakers Born from the 1930s to the 1960s
언어학 연구
2021 .10
연변 조선어문사업의 현황
중국조선어문
2015 .05
Restored Korean Ethnicity and China’s Post-Socialist Local Development in the Mid-1970s and 1980s: Yanbian Koreans in Perspective
Korea Journal
2022 .09
Effects of Cue Weight on the Adaptation of English Stops and /s/ in Seoul and Yanbian Korean
언어학 연구
2022 .01
Dialectal Variability on Sound Change in Contemporary Korean
언어
2017 .09
연변의 조선언어문자사업이 직면한 문제와 문제해결의 대안
중국조선어문
2015 .07
1990년대 말 중국조선족 문예지 《연변문학》의 지각(地殼/知覺)변동
대동문화연구
2023 .03
The magnitude of articulatory gestures for the glide /w/ in Korean: Implications for the phonological representation of /w/
음성음운형태론연구
2020 .12
Exclusive Pakkey and Multidimensionality
담화·인지언어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22 .11
1910년대 미국의 한국에 대한 인식과 3.1운동에 대한 반응
역사와실학
2021 .04
Exhaustivity of –(n)un in Korean
한국언어학회 학술대회지
2017 .06
재일동포사회를 통해서 본 한국다문화사회의 비판적 고찰
일본문화학보
2016 .02
재중동포 이중 언어 교육의 실제와 개선 방안 -연변조선족자치주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2018 .01
大阪日本橋の多言語化と地域的特徴 : 電気とサブカルチャーの街の言語景観
일본연구
2016 .05
An Acoustic Comparison of Korean Coronal Fricatives in the Seoul and Yanbian Korean Dialects
언어학 연구
2015 .01
미국에서의 한국어 교육 현황과 전망 - 재미 동포의 인식 조사를 바탕으로 -
언어와 문화
2015 .01
인문언어학의 한국어교육에의 적용 -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교육에서 -
언어사실과 관점
2018 .01
초국적 이동과 중국동포청년이미지 변화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2018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