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급격한 고령화와 코로나19로 인해 바이러스에 취약한 고령자의 효과적인 건강관리 방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들의 신체기능 증진을 위해 전신진동 기반 순환 운동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전문가 19명(39.5±6.1 yr, 171.5±5.1cm, 69.2±5.4kg)과 고령자 19명(71.3±6.1yr, 162.3±3.1cm, 66.2±4.9kg)을 대상으로 실시한 사용성 평가를 통해 순환 운동 시스템의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전신진동 기반 순환 운동 시스템은 4개의 운동기기, 휴식 및 이완을 위한 안마기기, 기기 제어를 위한 모바일 앱 및 운동 콘텐츠 제시를 위한 키오스크형 터치 모니터로 구성하였고, 각 운동기기와 결합하여 운동할 수 있도록 준비운동(15종), 본 운동(21종), 정리운동(12종)에 대한 단위운동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사용성 평가를 위해 참가자들에게 순환 운동 시스템을 이용하여 운동을 수행하게 한 후, 운동장비의 안전성, 조작 및 기능성, 편의성 항목에 대한 총 18개의 세부 항목에 대해 총 5점 척도로 평가를 실시하였고, 참여자들이 자유롭게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두 그룹의 안전성, 조작 및 기능성, 편의성에 대한 평균값이 3.8이상으로 대체적으로 ‘보통’ 이상의 긍정적으로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성 평가에서 도출된 개선사항의 안전성 증진을 위하여 운동기기의 높이 조절, 운동 수행 영역 확대 및 손잡이 부분의 디자인 수정 등이 있었다. 조작의 편이성을 위해 컨트롤 패널의 명시성을 높이는 것과 편의성 증진을 위하여 온열 기능 추가 및 다양한 크기와 무게의 소도구 개발이 도출되었다. 본 시스템의 사용성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전신진동 기반 순환 운동 시스템을 보완한다면 고령자들의 운동 효과 및 제품의 만족도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Due to the recent rapid aging and COVID-19, effective health care measures for the elderly, who are vulnerable to the virus, are neede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ircuit exercise system based on whole body vibration was developed to improve the physical function of the elderly, and 19 experts (39.5±6.1 yr, 171.5±5.1 cm, 69.2±5.4 kg) and 19 elderly people (71.3±6.1 yr, 71.3±6.1 yr, 162.3 ± 3.1 cm, 66.2 ± 4.9 kg), we tried to derive improvement plans for the circulation exercise system through usability evaluation. The circuit exercise system based on whole body vibration consists of four exercise devices, a massage device for rest and relaxation, a mobile app for device control, and a kiosk-type touch monitor for presenting exercise contents. Unit exercise contents for warm-up exercises (15 types), main exercises (21 types), and cool-down exercises (12 types) were developed. To evaluate usability, participants were asked to exercise using a circular exercise system, and then a total of 18 detailed items on safety, operation and functionality, and convenience of the exercise equipment were evaluated on a total of 5 points scale, interviews were conducted so that participants could freely provide feedback.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value of safety, operation and functionality, andconvenience of the two groups was 3.8 or higher, indicating a positive evaluation of "average" or higher. In order to enhance the safety of the improvements derived from the usability evaluation, there were height adjustment of exercise equipment, the expansion of exercise performance area, and handle design modific modification. For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the control panel"s clarity was increased, and a heating function was added and tools of various sizes and weights were developed for convenience. If the circuit exercise system based on whole body vibration is supplemented based on the usability evaluation results of this system, it is expected that the exercise effect and product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ill be further increa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