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춘향전>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조선후기 판소리 문학에 나타난 聖과 俗의 관계에 주목했다. <춘향전>의 ‘黃陵廟’ 대목에 주목하여 聖과 俗의 統攝 양상을 파악하고 그 의미를 탐색한 결과를 판소리 전반에 적용시켜보자는 試論에 가까운 글이라고 할 수 있다.
초기 <춘향전>에서는 胎夢과 破鏡夢을 삽화로 배치함으로써 聖의 개입을 통해 俗의 문제를 해결하려고 했지만, 춘향과 이몽룡이 맺어질 수 있는 내적 논리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했다. 태몽과 파경몽만으로는 聖의 현현을 이끌어내기에 부족했기 때문에 옥중가 또는 몽중가에서 새로운 장면을 짜서 넣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그 장면이 바로 황릉묘 대목이라고 할 수 있다.
<완판 84장본 열녀춘향수절가>의 황릉묘 대목에서는 춘향이 만나는 二妃, 弄玉, 王昭君, 論介, 月仙, 戚夫人 등을 통해 죽음을 무릅쓴 춘향의 항거에 초월적 근거를 제공한다. 聖의 영역을 근거로 俗의 규범을 춘향의 행위와 연결시키고, 그럼으로써 춘향의 행위는 초월적 근거를 확보한 현실적인 행동 양태로 거듭나게 된다. 이 짧은 대목을 통해 <춘향전>에서 별다른 기능을 하지 못했던 聖의 영역이 온전히 자기 자리를 잡게 되며, 俗을 뒤받쳐주는 기능을 함으로써 俗이 聖을 통섭하는 구도를 완성시킨다.
한편, <신재효 남창 춘향가>에서는 황릉묘 대목을 ‘天障殿 대목’으로 대체함으로써 聖과 俗의 통섭 양상을 전환시킨다. 천장전 대목에서는 춘향이 이몽룡을 만나 이별을 하고 온갖 고난을 겪은 후 다시 이몽룡과 부부의 연을 맺을 것을 天命으로 설명하며, 춘향은 이미 전생에서부터 정해진 천명에 의한 삶을 살고 있는 것으로 그려진다. <신재효 남창 춘향가>에서는 황릉묘 대목을 천장전 대목으로 대체하고 기존의 <춘향전>에 개입했던 聖의 세계 또한 조정하면서 聖에 의한 俗의 서사논리를 직조한다. 즉, 聖에 의한 俗의 통섭으로 전도시키고 있는 것이다. 동일한 현실적 결핍을 해결하기 위한 방도로 聖과 俗의 통섭이 시도되었고 그 방향성이 보여주는 양 극단에서 <춘향전>에 노정된 갈등을 논리적으로 해소하고자 했던 당대 향유층의 상반된 시각을 엿볼 수 있다.
聖과 俗의 관계는 여타 판소리 문학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俗이 聖을 통섭하는 구도는 <춘향전>뿐 아니라 <심청전>과 <흥부전>에서도 발견된다. <토끼전>이나 <장끼전>은 ‘우화’의 형식을 빌려 聖과 俗이 굴절된 형태를 보여주며, <변강쇠가>나 <적벽가>에서는 聖과 俗의 갈등양상이 드러난다. <배비장전>, <강릉매화타령>, <가짜신선타령>은 聖의 세계를 ‘가짜’로 만들어버리며, <무숙이타령>에서는 이런 가짜 聖마저 속임수와 변장으로 대체된다. 판소리 문학은 聖과 俗의 관계를 이러저러한 방식으로 뒤섞으면서 聖에 의한 俗의 통섭, 俗에 의한 聖의 통섭, 聖과 俗의 갈등, 聖과 俗의 굴절 등을 담아냈던 일종의 ‘실험의 장’으로 기능했다. 그럼으로써 조선후기라는 특정한 시대의 다양한 삶의 양태를 그려낼 수 있었던 것이다. 20세기에 외부에서 강제로 유입된 서구적 근대 논리에 의해 聖의 세계를 의식적으로 부정당함으로써 그 실험의 결론을 내지 못했지만, 오히려 미완의 결론 속에서 판소리 문학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acred and profane appeared in Pansori literature in the late Choson Dynasty. It can be said that it is close to a theory that focuses on the “Hwangneung-myo” section of "Chunhyangjeon" to understand the pattern of the unity of the sacred and profane, and to apply the results of exploring its meaning to the entire pansori literature.
In the early version of “Chunhyang-jeon”, the profane problem is solved through the intervention of the sacred by arranging Tae-mong and Paekyung-mong, but it does not secure enough narrative logic for the love between Chunhyang and Lee Mong-ryong. It seems that a new scene was created in Okjun-ga or Mongjun-ga because it was not enough to draw out the manifestation of the sacred itself, and the scene was the section of the Hwangneung-myo.
The section of the Hwangneung-myo in “Yeolnyeo Chunhyang sujeol ga” provides a transcendent basis for Chunhyang's resistance to death through Ibi, Nongok, Wangso-gun, Nongae, Nongae, Nongae, Wolseon, and Cheok-buin. Based on the domain of the sacred, the norm of profane is linked to the act of Chunhyang, and by doing so, Chunhyang’s act is reborn as a realistic behavior that has secured a transcendental basis. Through this short scene, the area of the sacred, which did not function much in "Chunhyang-jeon," becomes fully established, and by functioning to support profane, the composition of the sacred is completed.
On the other hand, in “Shin Jae-hyo Namchang Chunhyang-ga”, the main section of the Hwangneung-myo is replaced with the “Chunjangjeon section” to change the pattern of relationship between the sacred and profane. In the Cheonjangjeon section, Chunhyang explains that she will meet Lee Mong-ryong, break up, go through all kinds of hardships, and form a love with Lee Mong-ryong again, and Chunhyang is already set by her previous life. In “Shin Jae-hyo Namchang Chunhyang-ga”, the part of the Hwangneung-myo was replaced with the section of the Cheonjangjeon, and the sacred world which intervened in the existing <Chunhyangjeon> was also adjusted, weaving the narrative logic of the sacred. In other words, it is being evangelized by the intervention of profane by sacred. As a way to solve the same realistic deficiency, the consensus between the sacred and profane was attempted, and the opposite views of the people of the time were seen to logically resolve the conflict prescribed in “Chunhyang-jeon” at both extremes.
The relationship between sacred and profane can also be applied to other pansori literature. The composition of sacred and profane is found not only in “Chunhyang-jeon”, but also in “Simcheong-jeon” and “Heungbu-jeon”. “Tokki-jeon” or “Jangki-jeon” borrows the form of fable and shows the refracted form of sacred and profane, and “Byeongangsoe-ga” and “Jukbeuk-ga” reveal the pattern of conflict between sacred and profane. “Baebijang-jeon”, “Gangneung Maehwa-Taryeong” and “Gajjashinsun-taryeong” make the sacred world a ‘fake,’ and in “Musuki-taryeong”, even these fake sacred are replaced by deception and disguise. Pansori literature mixed the relationship between sacred and profane in one way or another, functioning as a kind of ‘field of experimentation’ that contained the unity of sacred and profane, or vice versa, and the conflict between sacred and profane, and the refraction of sacred and profane. By doing so, it was possible to portray various aspects of life in a specific era called the late Choson Dynasty. Although the experiment was not concluded by consciously denying the world of sacred by the Western modern logic that was forcibly introduced from the outside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substance of pansori literature can be found in this incomplete conclu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