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배경 및 목적) 도시는 주변의 사회, 자연, 경제 등 영향을 받으면서 발전했고 사람들의 생활과 소비문화가 달라지면서 도시에 가장 많이 생겨나고 발전된 시설은 복합상업시설이다. 시대에 따라 일반적 판매방식에서 문화적 개념을 가지는 공간으로확대되었으며 개념이 변화하면서 시설 이용의 목적보다는 엔터테이먼트 요소를 가지고 있는 공간으로 구성되었고 중간 영역의매개공간도 상업시설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이벤트와 문화, 체험 활동 요소가 생겨나면서 매개공간 자체를 찾는 트렌드가 형성되었다. 매개공간은 중간 영역의 역할만이 아닌 문화생활의 공간으로 자리 잡았고 특성에 따라 이용자의 만족도와 체류 시간에도 영향을 미치며, 공간의 마케팅에 따라 재방문을 유도하는 공간으로 자리 잡고 있다. 시대 변화에 따라 이용자의 소비문화는변화하고 있고 그 변화에 따라 달라지고 있는 복합상업시설의 매개공간을 중심으로 국내 건축물 조사를 통해 매개공간이 어떻게활용되고 있는지 분석하고 결과를 도출해 복합상업시설 매개공간을 계획하는데 기초 자료로 제공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연구방법) 연구의 범위는 서울 지역의 복합상업시설을 중심으로 유통산업 발전법에 따른 연면적 100,000㎡이상인 2000년대 이후 상업시설 중 연구 목적에 맞는 매개공간 이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건축물 더 현대서울, 잠실 롯데월드 몰, 스타시티 코엑스몰 3곳을 선정해 이용자의 소비문화와 연관되어 매개공간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기초 자료와 선행연구를 통해 분석하려고 한다. 분석방법은 기초 자료와 선행연구를 통한 기본정보와 매개공간의 특성을 도출해 각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종합하여 매개공간의 구성과 특징을 파악해 결과를 도출하려고 한다. (결과)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매개공간이 소비문화 변화에 따라어떻게 활용되는지 정확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매개공간의 특성을 도출해 공간구성, 공간진입, 공간개방, 공간전략, 공간연계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매개공간은 접근성과 인지성을 높여 이용자에게 직접적인 동선의 방향성과 식별성을 높이고엔터테이먼트 요소를 활용해 시각적인 연결로 공간의 연속성을 강조하였다. 매개공간의 위치와 목적, 특성에 의해 이용자들의만족도와 체류 시간에 영향을 미치고 수직적 연결과 수평적 연결로 나뉘어 물리적 요소와 심리적 요소를 활용하는 매개공간은단순히 공간을 연결하는 기능을 가진 공간이 아닌 이용자들에게 하나의 문화 공간이자 작은 도시의 공간으로 이용자들에게 경험과 시간이 직접 연결된 장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론) 복합상업시설은 소비의 목적이 크지만 동시에 문화생활과 체험 요소도 가진 공간으로 이용자를 고려해 매개공간의 활용은 다양한 기능과 성격의 중요성이 높고 매개공간의 구성요소는 단순히 공간을 이어주는 기능보다는 공간과 공간 사이에서 커뮤니티 장소와 문화적 장소로 새로운 기능을 하고 있고 이용자의 다양한 니즈와 경제, 시대적인 성향과 이용자의 소비문화가 반영된 공간으로 변화하는 만큼 매개공간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다양한시각에서 연구가 필요하고 제시되어야 한다.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The city develop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surrounding society, nature, and economy, and as people's lives and consumption culture changed, the most common and developed facilities in the city are complex commercial facilities. According to the times, it expanded from general sales methods to spaces with cultural concepts, and as the concept changed, it consisted of spaces with entertainment elements rather than the purpose of using facilities, and as commercial facilities changed, various events, culture, and experience activities were created. The mediating space has established itself as a space for cultural life, not just a role in the middle area, and it affects user satisfaction and residence time depending on its characteristics, and induces revisiting according to the marketing of the space. The purpose is to analyze how the medium space is being used through a domestic building survey,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planning the medium space of the complex commercial facility, focusing on the medium space of the complex commercial facility. (Method) Based on the complex commercial facilities in Seoul, the Hyundai Seoul, Jamsil Lotte World Mall, and Star City COEX Mall, which have been actively using mediating spaces for research purposes since the 2000s, will be analyzed through basic data and prior research. The analysis method analyzes each case by deriving basic in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mediating space through basic data and previous studies, and synthesizes them to understand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mediating space to derive results. (Results)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understand the exact characteristics of the existing mediating space according to changes in consumption cultu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ting space were derived and analyzed through space composition, space entry, space opening, space strategy, and space connection. Through the analysis, the mediating space increased accessibility and cognition, increasing directions and identification of direct movements to users, and emphasizing the continuity of the space through visual connection using entertainment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the mediating space, which affects users' satisfaction and stay time by location, purpose, and characteristics, and uses physical and psychological factors by vertical connection and horizontal connection, is not just a space that connects space, but a cultural space and a small city space. (Conclusion) The complex industrial facilities are large, but the use of cultural life and experience elements of the parameters, and experience elements of various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arameters of various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