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찰스 웨슬리의 「예수, 내 영혼의 사랑」과 우리말 찬송가 「비바람이 칠 때와」의 번역 비교 연구
문학과 종교
2018 .01
The Tempest, 사건을 생성하고 추동하는 음악
Shakespeare Review
2023 .06
이머시브 연극의 경험성과 매체성 연구
인문콘텐츠
2015 .03
인류세 시대에 다시 읽는 셰익스피어의 Tempest
현대영미드라마
2019 .12
대구국제뮤지컬페스티벌(DIMF)의 뮤지컬 <더 템페스트>에 내재된 글로컬문화의 전망
영미어문학
2024 .09
‘몰입형 미디어아트(immersive media art)’의 빛과 그림자 -수묵산수화 심미체험과 비교를 통해서
인문과학
2022 .04
A Korean Adoptation of Shakespeare in Choi Inhoon’s Typoon
Shakespeare Review
2021 .06
『태풍』에 나타난 정의구현: 절대권력 포기
신영어영문학
2022 .11
이머시브 공연의 장소성과 상호작용성 분석 : <안산순례길>을 중심으로
공연문화연구
2021 .01
셰익스피어 공연에 나타난 성스러움과 경계성 : 오태석의 〈템페스트〉를 중심으로
Shakespeare Review
2015 .12
『태풍』에 나타난 부녀관계
현대영어영문학
2019 .01
인류학자 최인훈 씨, 적도에서 행성의 역사를 발견하다
한국현대문학연구
2024 .12
팬데믹 시대의 에드거 앨런 포: 「붉은 죽음의 가면극」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성
근대영미소설
2023 .04
최인훈의 『태풍』에 나타난 시대착오와 평행세계의 상상력
동서인문학
2016 .06
상호매체성과 상호 매체적 서사 연구: 셰익스피어의 『폭풍우』와 피터 그리너웨이의 <프로스페로의 책들>을 중심으로
고전중세르네상스영문학
2021 .01
셰익스피어와 정의: 『태풍』을 중심으로
영미어문학
2015 .09
감성적 주체로서의 능동적 관찰자
도시인문학연구
2017 .01
Analysis of Referential Cohesion in L2 Written Narratives Within an English Immersion Education Context
Journal of Asia TEFL
2020 .01
라이브 커머스의 의사사회적 상호작용이 경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아 이미지 일치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복식문화연구
2020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