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교사의 독서 인식과 독서교육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책 읽는 학생’에 관한 교사의 인식과 지원
Ⅴ.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자기연구로서 교사독자의 읽기 경험에 대한 반성적 고찰
한국초등국어교육
2015 .01
청소년 독자의 읽기 활동체제(activity system) 분석
독서연구
2019 .01
중학생의 디지털 읽기 실행과 독자 정체성의 관계 연구
독서연구
2022 .08
전문계 고등학생의 독서 실태 및 독자 인식에 대한 연구
독서연구
2020 .01
교사의 읽기 시범과 오디오 사용이 초등학생의 영어 읽기 운율에 미치는 효과 비교
초등영어교육
2015 .01
Teaching What We Know : The Influence of Pre-service EFL Teachers’ Background on L2 Reading Attitudes
어학연구
2017 .04
사회인지이론을 활용한 그룹기반의 초등영어도서관 프로그램의 개발과 독서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 조사
Foreign Languages Education
2015 .01
고등학교 독자의 웹툰, 웹소설 읽기 실태와 인식에 관한 연구
독서연구
2022 .08
읽기 목적에 따른 독자의 읽기 과정 특성 연구
우리어문연구
2024 .05
Motivation for L2 Reading and Its Relationship with Reading Amount in a Korean EFL University Setting
현대영어교육
2024 .03
‘한 학기 한 권 읽기’의 실천에서 드러난 초등교사의 딜레마 탐색
아동청소년문학연구
2019 .06
평가 상황에서 문학 작품 읽기에 대하여 -문학에게 과학처럼 말 걸기
한국언어문학
2015 .01
사회적 독서로서 ‘함께 읽기’의 사례 연구 : 문학 텍스트 함께 읽기의 대화 분석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
2024 .06
새로운 독서 활동의 양상과 독자 개발의 한 방법 -‘따로 또 같이 Zoom에서 책읽기’의 사례를 중심으로-
우리어문연구
2022 .01
‘꼼꼼하게 읽기(close reading)’의 재조명: 독서 이론과 교수학습 측면의 의미를 중심으로
독서연구
2015 .01
온라인 다독 활동에서 초등학생의 영어 읽기 전략 및 태도 분석
초등영어교육
2022 .03
의미 중심 읽기 지도법이 중학생 영어 학습자의 읽기 능력과 읽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
영어학
2022 .01
성인 애독자와 비독자의 독서 가치와 목적 인식 비교
독서연구
2020 .01
Diagnosis of Korean EFL High School Students’ Reading Fluency Using Informal Reading Inventory
Journal of Asia TEFL
2021 .01
중학생의 읽기 동기와 읽기 능력 간의 관계에서 읽기 행동의 매개효과: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독서연구
2024 .0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