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오륜석 (부경대) 최준호 (부경대)
저널정보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논문집 大韓建築學會論文集 第39卷 第6號(通卷 第416號)
발행연도
2023.6
수록면
179 - 184 (6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Exit sign can help guide evacuees from a hazardous area, for instance fires, to a safe area. Legible exit signs would convey information about correct way-finding to the evacuees and would lead evacuees to a safe area rapidly so that Required Safe Egress Time (RSET) would be reduced considerably. In this study, the visibility and legibility of 13 pictograms combining running man-shaped graphic symbols, arrows and letters were measured to derive effective design of exit signs. Visibility and legibility were quantified based on the participant’s pre-evacuation time to exit sign.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a composition of pictograms that can minimize pre-evacuation time was derived. As a result, it was measured that the pre-evacuation time of the pictogram using only the running man graphic symbol alone was the shortest. This is the current pictogram most widely used as a sign to guide the location of emergency exit in South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n engineering basis for the domestic standards for pictogram design for exit signs.

목차

Abstract
1. 서론
2. 유도등 픽토그램에 따른 인지성능
3. 피난구유도등 픽토그램 구성에 따른 반응시간 측정
4. 피난구유도등 픽토그램 구성별 반응시간 분석
5.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14)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2-2023-540-001784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