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박기표 (경희대학교, 경희대학교 대학원)

지도교수
김정남
발행연도
2014
저작권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13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글은 한국어 보조용언과 선행 어미의 통합형에 대하여 형태·통사적인 특징과 의미·기능에 대해 고찰하고, 보조용언의 활용 제약형을 제시하여 한국어 문법을 배우는 외국인의 학습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한국어 보조용언은 형태적으로 본용언과 같지만 특정 어미와 결합한 구성으로 쓰여 본용언으로 쓰일 때와는 다른 상적, 양태적 의미·기능을 나타낸다. 형태가 유사하기 때문에 외국인 학습자에게 어려움을 준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어미를 중심으로 각 어미와 결합하는 보조용언의 형태적, 의미·기능적인 특징을 고찰하였다.
한국어 보조용언에 접근하기 위해서 한국어 보조용언의 목록을 알아보고자 하여 2장에서는 《표준국어대사전》, 한국어 교재, 《한국어 사용 빈도 조사 2》, 《한국어 학습용 기초 어휘 선정 결과 보고서》 등의 자료를 분석하여 기존 연구에서의 보조용언의 목록은 어떤 것이 있는지, 한국인의 한국어 사용 환경에서 어떤 보조용언이 쓰이고 있는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는 어떻게 제시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보조용언과 결합하는 어미에 따라 분류하고 논의하였다. 보조용언은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 글에서는 Ⅰ유형, Ⅱ유형, Ⅲ유형으로 나누었다. Ⅰ유형은 연결어미와 결합하는 보조용언, Ⅱ유형은 전성어미와 결합하는 보조용언, Ⅲ유형은 종결어미와 결합하는 보조용언이다.
4장에서는 3장에서 논의한 것에서 결합 제약이나 활용 제약을 보인 보조용언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이러한 제약에 대하여 한 가지 형태만 존재하는 보조용언을 강제약형으로, 활용형이 두세 가지 정도 나타나는 경우에는 약제약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강제약형은 ‘-아/어 가지고’, ‘-(으)ㄹ까 봐’, ‘-다(가) 못하여’ 등이 있었고, 약제약형은 ‘-고 나니/나면/나서’, ‘-고 보니/보면’, ‘-고 해서/하니’, ‘-았/었으면 하다’ 등이 있었다. 이러한 제약형에 대해서는 한국어 교재나 한국어 사전에서 용언의 기본형이 아닌 제약형의 형태로 제시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목차

1. 서론 1
1.1. 연구 목적 1
1.2. 연구 대상 및 방법 1
1.3. 선행 연구 2
2. 보조용언 목록 13
2.1.《표준국어대사전》의 보조용언 13
2.2. 한국어 교재의 보조용언 18
2.3.《현대 국어 사용 빈도 조사 2》중의 보조용언 24
2.4.《한국어 학습용 기초 어휘》중의 보조용언 26
3. 보조용언의 선행 요소에 따른 분류 31
3.1. Ⅰ유형: 연결어미 결합형 34
3.1.1. Ⅰ-1형: ‘-아/어’ 결합형 34
3.1.2. Ⅰ-2형: ‘-고’ 결합형 48
3.1.3. Ⅰ-3형: ‘-지’ 결합형 54
3.1.4. Ⅰ-4형: ‘-게’ 결합형 57
3.1.5. Ⅰ-5형: 기타 연결어미 결합형 59
3.2. Ⅱ유형: 전성어미 결합형 67
3.2.1. Ⅱ-1형: ‘-(으)ㄴ/는’ 결합형 67
3.2.2. Ⅱ-2형: ‘-(으)ㄹ’ 결합형 69
3.2.3. Ⅱ-3형: ‘-(으)ㄴ/는’, ‘-(으)ㄹ’ 결합형 71
3.2.4. Ⅱ-4형: ‘-(으)ㅁ’ 결합형 72
3.3. Ⅲ형: 종결어미 결합형 74
3.3.1. Ⅲ-1형: 의문형 종결어미 결합형 74
3.3.2. Ⅲ-2형: 평서형 종결어미 결합형 79
4. 보조용언의 활용 제약 83
4.1. 강제약형 83
4.2. 약제약형 84
5. 결론 87
참고문헌 91
Abstract 97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