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2
목 차Abstract i목 차 iii표 목차 v그림 목차 vi제 1 장 서 론 11.1 연구배경 및 목적 11.2 연구의 방법 2제 2 장 이론적 배경 42.1 수질모델링 42.2 EFDC 모형의 개요 62.2.1 모형의 지배방정식 62.2.2 EFDC 모형의 지배방정식 72.2.3 EFDC 수질 모형 152.3 계산격자생성 방법 22제 3 장 대상구간의 선정 및 연구방법 243.1 대상구간의 특성 및 현황 243.2 현장조사자료 취득방법 263.2.1 지형자료 취득 263.2.2 수질자료 취득 313.3 격자 구성 및 지형 구축 373.3.1 지형자료 구축 373.3.2 입력자료 구성 383.4 모형의 재현성 분석 463.4.1 수리모의 473.4.2 수온모의 493.4.3 수질모의 50제 4 장 영양염류 조절에 따른 수질 분석 564.1 시나리오 구성 584.2 시나리오별 결과 분석 594.2.1 금호강 유입조건에 따른 본류 수질분석 594.2.2 금호강 유입조건에 따른 수질분석 614.2.3 금호강 유입조건에 따른 클로로필-a 분석 64제 5 장 결 론 66참고문헌 68감사의 글 71표 목차Table 2.1 직교곡선좌표계와 시그마좌표계의 계산특성 23Table 3.1 GRX1 제원(Sokkia) 27Table 3.2 대상지역의 국가 기준점 제원 28Table 3.3 ADCP 제원(SonTek) 29Table 3.5 ARCWQ1 측정소 현황 32Table 3.6 ARCWQ2 측정소 현황 33Table 3.7 수위 재현성 검토결과 48Table 3.8 수온 재현성 검토결과 49Table 3.9 수질항목별 분율 적용 방법 52Table 3.10 EFDC 주요 수질 매개변수 52Table 3.11 수질 재현성 검토결과 53Table 4.1 각 시나리오별 자료 구축방법 58그림 목차Fig 2.1 Primary modules of the EFDC model 7Fig 2.2 Structure of the EFDC Hydrodynamic model 7Fig 2.3 EFDC의 수질 모의 모식도(EFDC Water Quality Model, 2000) 17Fig 3.1 연구대상구간 25Fig 3.2 홍수터 측량 및 사용기기 28Fig 3.3 하도측정 및 사용기기 29Fig 3.4 3차원 지형공간정보 30Fig 3.5 수질관측소 운영 지점 31Fig 3.6 ARCWQ1 측정기 및 채수구 사진 32Fig 3.7 ARCWQ2 측정기 및 채수구 사진 33Fig 3.8 ARCWQ1 지점의 수온 이상값 제거 전·후 35Fig 3.9 ARCWQ1 지점의 DO 이상값 제거 전·후 35Fig 3.10 ARCWQ1 지점의 클로로필 이상값 제거 전·후 35Fig 3.11 ARCWQ2 지점의 수온 이상값 제거 전·후 36Fig 3.12 ARCWQ2 지점의 DO 이상값 제거 전·후 36Fig 3.13 ARCWQ2 지점의 클로로필 이상값 제거 전·후 36Fig 3.14 직교곡선격자망 38Fig 3.15 강정고령보, 금호강 지점의 유량경계조건(태풍: 산바2012) 39Fig 3.16 강정고령보, 금호강 지점의 유량경계조건 40Fig 3.17 달성보 지점의 수위조건(태풍: 산바2012) 40Fig 3.18 달성보 지점의 수위조건(2013년11월~2014년 10월) 41Fig 3.19 대구관측소의 일별 기압 41Fig 3.20 대구관측소의 일별 평균기온 42Fig 3.21 대구관측소의 일별 상대습도 42Fig 3.22 대구관측소의 일별 강우량 42Fig 3.23 대구관측소의 일별 일사량 43Fig 3.24 대구관측소의 일별 운량 43Fig 3.25 관측소별 수온 분포 44Fig 3.26 관측소별 DO 분포 44Fig 3.27 관측소별 T-N 분포 45Fig 3.28 관측소별 T-P 분포 45Fig 3.29 관측소별 클로로필-a 분포 45Fig 3.30 화원수위관측소 지점의 수위비교 48Fig 3.31 고령수위관측소 지점의 수위비교 48Fig 3.32 고령수질관측소 지점 수온 비교 49Fig 3.33 ARCWQ1 지점 수온 비교 50Fig 3.34 ARCWQ2 지점 수온 비교 50Fig 3.35 고령수질관측소 지점 DO 비교 53Fig 3.36 고령수질관측소 지점 T-N 비교 53Fig 3.37 고령수질관측소 지점 T-P 비교 54Fig 3.38 고령수질관측소 지점 클로로필-a 비교 54Fig 3.39 ARCWQ1 지점 DO비교 54Fig 3.40 ARCWQ1 지점 클로로필-a 비교 55Fig 3.41 ARCWQ2 지점 DO 비교 55Fig 3.42 ARCWQ2 지점 클로로필-a 비교 55Fig 4.1 각 지점별 월평균 DO 56Fig 4.2 각 지점별 월평균 BOD5 56Fig 4.3 각 지점별 월평균 T-N 57Fig 4.4 각 지점별 월평균 T-P 57Fig 4.5 각 지점별 월평균 클로로필-a 57Fig 4.6 금호강유입조건 Case별 DO 59Fig 4.7 금호강유입조건 Case별 T-N 60Fig 4.8 금호강유입조건 Case별 T-P 61Fig 4.9 Case별 DO 비교 62Fig 4.10 Case별 T-N 비교 62Fig 4.11 Case별 T-P 비교 63Fig 4.12 Case별 클로로필-a 비교 63Fig 4.13 T-N Case별 클로로필-a 비교 64Fig 4.14 T-P Case별 클로로필-a 비교 6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