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이형균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지도교수
박미정
발행연도
2015
저작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4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3)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안경원에서 사용되는 자각식 굴절검사 장비인 시험테와 자동포롭터의 정확도를 알아보아 신뢰도를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시험테와 자동포롭터를 완성된 안경과 비교하여 시력의 질적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시험렌즈의 마이너스 구면렌즈와 마이너스 원주렌즈의 도수를 실측하였으며 1매의 마이너스 구면렌즈와 1매의 마이너스 원주렌즈로 구성된 합성굴절계를 장입순서를 달리하여 얇은 렌즈의 합성굴절력 공식과 굴스트랜드의 합성굴절력 공식으로 계산된 굴절력을 실측한 굴절력과 상호비교 분석하였다. 자동포롭터의 마이너스 구면렌즈와 마이너스 원주렌즈의 도수를 실측하였으며 마이너스 구면굴절력과 마이너스 원주굴절력이 합성된 도수를 실측하여 입력한 굴절력과 실제로 장입된 굴절력 사이의 오차를 상호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시험테에 시험렌즈를 겹쳐 장입한 도수와 포롭터에 입력된 도수간에 오차의 정도를 비교해보았고 어느 검사법이 완성된 안경과 오차가 적은지 알아보기 위해 각각의 방법으로 교정시력을 검사하였고 Colenbrander''s LogMAR score로 변환하여 시력의 질을 비교해보았다. 만20세~만50세 이하의 성인남녀 남30명, 여25명 총 110안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동포롭터, 시험렌즈 set, 완성된 안경에서 0.1이상~1.2이하의 교정시력을 갖는 근시 또는 근시성 복성난시인 자로, 시력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내분비계 질환 및 기타 안질환이 없는 사람을 선정하였다.
Lianyungang tiannuo의 시험렌즈set는 국제규격(ISO)의 굴절력 규격에 부합하였으나 Xingda의 시험렌즈set는 구면렌즈 2개가 규격에 부적합하였다. 구면렌즈가 시험테의 안쪽, 원주렌즈가 시험테의 바깥쪽에 장입된 경우 얇은 렌즈의 합성굴절력의 공식으로 계산된 원주굴절력이 음의 방향으로 가장 높게 나왔고 다음으로 실측된 원주굴절력, 굴스트랜드의 공식의 원주굴절력 순으로 높게 나왔다. 실측 원주굴절력과 얇은 렌즈의 합성굴절력 공식의 원주굴절력 오차는 C-6.00 D인 구간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실측 원주굴절력과 굴스트랜드 공식의 원주굴절력 오차는 C-4.00 D인 구간을 제외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굴스트랜드 공식의 원주굴절력은 동일한 원주렌즈가 장입된 상태에서도 구면렌즈의 굴절력이 커질수록 낮아졌다. 얇은 렌즈의 합성굴절력 공식으로 계산된 구면굴절력과 굴스트랜드 공식으로 계산된 구면굴절력은 동일하였으며 Lianyungang tiannuo의 시험렌즈set를 실측한 구면굴절력은 얇은 렌즈의 합성굴절력의 구면굴절력과 굴스트랜드 공식의 구면굴절력보다 평균 -0.06 ±0.11 D만큼 음의 방향으로 높았고 Xingda의 시험렌즈set를 실측한 구면굴절력은 얇은 렌즈의 합성굴절력의 구면굴절력과 굴스트랜드 공식의 구면굴절력보다 평균 0.04 D ±0.09 D만큼 양의 방향으로 높았다.
원주렌즈가 시험테의 안쪽, 구면렌즈가 시험테의 바깥쪽에 장입되었을 때 구면굴절력의 크기는 평균적으로 얇은 렌즈의 합성굴절력, 실측값, 굴스트랜드공식 순으로 음의 방향으로 높게 나타났다. 실측 구면굴절력과 얇은 렌즈의 합성굴절력 공식으로 구한 구면굴절력의 오차는 구면굴절력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함을 보였으며 굴스트랜드 공식의 구면굴절력과는 원주굴절력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함을 보였다. 원주굴절력의 크기는 평균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얇은 렌즈의 합성굴절력, 실측값, 굴스트랜드공식 순으로 높았으며 구면렌즈가 시험테의 안쪽, 원주렌즈가 시험테의 바깥쪽에 장입되었을 때보다는 적게 감소하였다. 얇은 렌즈의 합성굴절력에서 원주굴절력은 C -4.00 D인 구간을 제외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굴스트랜드 공식의 원주굴절력은 C-2.00 D인 구간을 제외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실험에서 Huvitz와 Viewm의 자동포롭터 구면굴절력은 -6.00 D부터 -0.125 D이상 음의 방향으로 낮은 차이를 나타내기 시작했다. 구면굴절력의 p value는 0.000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일정한 도수차를 보였고 원주굴절력 또한 Huvitz의 자동포롭터는 -6.00 D부터 -0.25 D이상 낮아졌고 p value는 0.002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Viewm의 자동포롭터는 -7.00 D부터 -0.25 D이상 낮아졌고 value는 0.002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자동포롭터는 구면렌즈 디스크가 안쪽에 장입된 구조로 구면굴절력의 오차는 보이지 않았으나 동일한 원주굴절력이 장입된 상태에서도 구면굴절력이 높아질수록 원주굴절력이 낮게 측정되었다. Lianyungang tiannuo의 시험렌즈set를 1매의 구면렌즈를 시험테의 안쪽, 1매의 원주렌즈를 시험테의 바깥쪽에 중첩하여 실측한 굴절력과 동일한 도수를 입력한 Huvitz의 자동포롭터의 굴절력을 비교하였을 때 총 30건 중 동일한 수치를 보인 경우 8건을 제외한 22건에서 자동포롭터의 원주굴절력이 시험테 보다 낮게 측정되었다.
앞선 실험을 바탕으로 동일한 도수가 장입된 시험테와 자동포롭터, 완성된 안경을 이용하여 교정시력을 측정하였고 교정시력을 Colenbrander''s LogMAR score로 변환하여 시력의 질적평가를 수행한 결과 모든 경우

목차

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4
1. 렌즈의 합성굴절력 4
1.1 공기중에 맞닿은 두 얇은 렌즈의 합성굴절력 4
1.2 두꺼운 렌즈의 상측정점굴절력 4
1.3 사이간격을 고려한 두 렌즈의 합성굴절력 5
2. 시험렌즈set 규격 5
3. 타각식 굴절검사와 자각식 굴절검사 7
3.1 타각식 굴절검사 7
3.2 자각식 굴절검사 7
4. 포롭터 7
4.1 포롭터의 내부구조 7
4.2 포롭터와 시험테의 장단점 비교 8
Ⅲ. 연구 대상 및 방법 11
1. 연구 대상 11
2. 사용 장비 11
3. 실험방법 12
3.1 시험테의 시험렌즈 장입간격비교 12
3.2 시험렌즈의 굴절력 및 두께 측정 12
3.3 자동포롭터의 굴절력 측정 12
3.4 동일한 도수의 시험테, 포롭터, 안경의 교정시력 비교평가 13
Ⅳ. 결과 15
1. 시험테의 시험렌즈 장입간격 비교 15
2. 단일 시험렌즈의 굴절력 및 두께측정 15
3. 구면렌즈가 안쪽, 원주렌즈가 바깥쪽에 장입되었을 때 합성굴절력 비교 20
4. 원주렌즈가 안쪽, 구면렌즈가 바깥쪽에 장입되었을 때 합성굴절력 비교 28
5. 자동포롭터의 구면굴절력 및 원주굴절력 측정 40
6. 자동포롭터의 합성굴절력 측정 45
7. 동일한 도수가 표기된 시험렌즈와 자동포롭터의 실측굴절력 비교 48
8. 동일한 도수가 장입된 자동포롭터, 시험렌즈, 완성된 안경의 교정시력 임상비교 52
Ⅴ. 고찰 59
Ⅵ. 결론 62
참고 문헌 64
영문 초록 67
감사의 글 71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