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문예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지도교수
추병선
발행연도
2016
저작권
대구가톨릭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1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aim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asking effect of the hydrogel lens and silicone hydrogel lens on the subjective with normal corneal shape and flat corneal shape after corneal refractive surgery, throughout refractive power and corneal topography map. Participants of 24 university students (means age:23.48±2.89years) consist of normal corneal shapes group(12) and flat corneal shapes after refractive surgery(LASIK-8, LASEK-4). The mean distance refractive error of Control groups(normal corneal shape) RE: -2.73D, Experimental groups(flat corneal shape) RE: -0.24. Inclusion criteria were on ocular pathology, able to wear soft contact lenses. The differences in the refractive power and corneal topography map between pre- and post-wearing the lenses were compared using 2 kinds of hydrogel contact lenses(-3.00D, 0.89Mpa, 0.49Mpa) and 2 kinds of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3.00D, 1.5Mpa, 0.8Mpa) in two groups. For the equipment of measurement, NVision-K5001(Shin nippon, Japan) was used to measure th refractive power and Keratograph 5M(Oculus, United state) was used to measure th corneal topography map.
As a result of this study, variations in the refractive power increased in the + direc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wearing soft contact lenses. In terms of the corneal topography map was showed significant changes on the both groups after wearing soft contact lenses(p<0.05), but the refractive power and corneal topography map variations by lenses material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pre- and post-wearing on the both groups. Therefore, wearing soft contact lenses show Masking effect. Especially the refractive power influence wearing soft contact lens on the flat corneal after corneal refractive surgery due to Masking effect. Therefore it should be cautious with prescription of soft contact lens for undergoing corneal refractive surgery.

Key words: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 Modulus, Corneal refractive surgery, Irregular astigmatism, Corneal topography

목차

Ⅰ. 서 론 1
Ⅱ. 이론적 배경 4
1. 재질별 특성 4
가. 하이드로겔 렌즈 4
나.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 5
2. 모듈러스 6
3. 각막형상 7
4. Masking 효과 10
Ⅲ. 연구 대상 및 방법 13
1. 연구대상 및 장비 13
가. 연구대상 13
나. 연구재료 16
다. 연구 장비 17
(1) NVision-K 5001 17
(2) Keratograph 5M 18
2. 연구방법 19
가. 연구절차 19
나. 굴절력 측정 19
다. 각막지형도 측정 20
3. 통계처리 20
Ⅳ. 결 과 21
1. 굴절력 변화량 비교 21
가. 렌즈 착용 후, 수술자와 비수술자의 굴절력 변화량 비교 21
나. 비 수술자의 렌즈 재질에 따른 굴절력 변화량 비교 23
다. 수술자의 렌즈 재질에 따른 굴절력 변화량 비교 25
2. 각막지형도의 평균량 27
가. 렌즈 착용 후, 수술자와 비수술자의 각막지형도의 전체 평균량 비교 27
나. 비 수술자의 렌즈 재질에 따른 각막지형도의 전체 평균량 비교 28
다. 수술자의 렌즈 재질에 따른 각막지형도의 전체 평균량 비교 31
3. 각막지형도 변화량 비교 34
가. 렌즈 착용 후, 수술자와 비수술자의 각막지형도 변화량 비교 34
나. 비 수술자의 렌즈 재질에 따른 각막지형도의 변화량 비교 35
다. 수술자의 렌즈 재질에 따른 각막지형도의 변화량 비교 37
Ⅴ. 고 찰 39
Ⅵ. 결 론 41
참고 문헌 42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