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강서영 (건양대학교 )

지도교수
류정묵
발행연도
2017
저작권
건양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4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가시광선 중, 짧은 파장대와 높은 에너지를 가진 청색광은 LED에 포함되어 텔레비전, 컴퓨터, 스마트폰 등 각종 전자기기 스크린에 사용된다. 이전 연구는, 빛의 노출에 따른 ROS의 증가가 연령관련 황반변성을 야기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그 손상 기전은 아직 명확하지 않고 치료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동물모델이 충분하지 않으므로, 본 연구진은 청색광으로
ROS가 유도된 광수용세포 손상모델을 만들었다. 그 결과, 망막 두께의 감소, 세포 사멸 증가, gliosis 증가, ROS의 증가, Wnt 관련 유전자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전 연구에서는 손상자극으로 인해 발생된 Wnt 신호가
ROS 증가를 막을 수 있다는 보고가 있었으므로 망막에 청색광을 조사한 후 Wnt 3a를 주입한 결과, Wnt 3a를 주입한 모델에서 세포 사멸과 ROS 발생이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이 과정 중 ROS로 인한 손상에 보호작용을 하는 Sestrin 2가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색광이 망막에 ROS를 증가시켜 망막색소상피세포와 독립적으로 광수용세포의 손상을 유도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청색광으로 유도된
Wnt/β-catenin 신호는 Sestrin 2와 함께 광수용세포를 보호할 수 있다는 것제시한다. 또한 청색광과 백색광이 신경줄기세포의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한 본 연구진은, 망막 손상 모델에서 Wnt/β-catenin 신호가 산화스트레스로부터의 보호 작용을 할 수 있고, 가시광선이 Wnt 신호의 자극제처럼 손상 받은 망막에서 망막줄기세포를 자극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목차

Ⅰ. INTRODUCTION 1
Ⅱ. MATERIAL AND METHOD 6
1. Animals 6
2. Reagents 6
3. Light exposure 7
4. Intravitreal injection 9
5. Immunostaining 9
6. TUNEL assay 10
7. DHE assay 11
8. Western blot analysis 11
9. Real-time PCR 12
10. Statistical analysis 15
Ⅲ. RESULT 16
1. Blue-light exposure induces gliosis in retina. 16
2. Excessive exposure to blue-light results in photoreceptor cell death. 20
3. The ROS level is increased in outer nuclear layer after blue-light exposure. 25
4. The genes related to Wnt/β-catenin signaling pathway are increased after blue-light exposure. 28
5. Active-β-catenin is increased after blue-light exposure in mouse retina. 30
6. Cell death is reduced in Wnt 3a-injected retina after blue-light exposure compared to DKK1-injected retina. 32
7. The ROS is decreased in Wnt 3a-injected retina after blue-light exposure compared to DKK1-injected retina. 35
8. The increase of retinal thickness following days after blue-light exposure. 39
9. Activation of Wnt/β-catenin signaling after white-, green- and blue-light exposure at same lux. 41
10. The activation of Wnt/β-catenin signaling is increased after blue- and white-light exposure. 44
Ⅳ. DISCUSSION 47
Ⅴ. CONCLUSION 52
Ⅵ. REFERENCE 53
Ⅶ. ABSTRACT IN KOREAN 60
Ⅷ. ACKNOWLEDGEMENTS 62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