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타동성이 정도로 나타난다는 점에서, 동사 뿐만 아니라 서술 형용사 역시 타동성을 갖는다고 보고 서술 형용사에 나타나는 타동성의 정도를 측정하여 보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타동성 척도에 대한 연구들을 정리한 후, 주로 Hopper and Thompson(1980)의 논의에 근거하여 서술 형용사의 타동성 측정 기준을 동작성, 의지성, 참여자 수, 긍정/부정, 양태, 행위자성의 여섯 가지로 제시하였으며, 이를 어떻게 측정할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또한, 서술 형용사의 타동성을 측정하기 위해 영어 코퍼스인 COCA를 사용하여 고빈도 서술 형용사 20개를 추출하여 이에 대해 앞서 제시한 여섯 가지 기준을 통해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에서는 Dixon(2005)가 제시한 어휘 유형들중, 인간적 특징에 해당하는 형용사들이 비교적 더 높은 타동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같은 서술 형용사 구문에서도 보어 역할을 하는 전치사구를 동반할 때 다른 타동성 수치들이 미미하나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예외적으로 동적인 전치사를 주로 동반하는 일부 서술 형용사들은 전치사가 없는 경우 더 높은 타동성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갖는다. 첫째, 전체적인 경향을 살펴보기에는 추출한 문장의 수가 각 100문장으로 비교적 적은 수에 속한다. 둘째, 타동성 측정에 있어서 COCA의 자료에 의존을 하였으며, 원어민 언어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충분한 공신력을 갖지 못한다. 마지막으로 문장 분석에서 대명사의 맥락에 대해서는 적절한 고려를 하지 못했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점들을 보완한 차후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paper i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transitivity for English predicative adjectives. It is assumed in this paper that English predicative adjectives may involve transitivity more or less. To measure the transitivity of 20 English predicative adjectives extracted from COCA corpus, six parameters for transitivity are proposed in this paper, which are based on Hopper and Thompson’s(1980) transitivity scale: kinesis, volitionality, affirmation, mode, agency, the number of participants. The followings are discussed in this paper. First, the adjectives in Dixon’s categories of human propensity are more likely to show the higher degree of transitivity. Second, the presence of transitivity affects the transitivity positively while some adjectives with dynamic prepositional phrase shows opposite results. However, as this study has a few limitations the result should be refined by more researches. First, in this study I only used 100 sentences per predicate, which cannot reflect every trait of the predicate. Also, the evaluation was dependent on COCA not on the native speaker of English, or expert of English language. As the corpus has limited data, this will be refined with next study. Last, in the evaluation process, the context of the sentences are not considered, which might affect the results.
제1장 서론 1제2장 이론적 배경 42.1 타동성의 개념 42.2 형용사 분류와 의미 102.3 서술 형용사 논항으로서의 전치사구 14제3장 연구방법 193.1 자료 수집 193.2 자료 조사 및 분류 20제4장 연구결과의 논의 254.1 술어 특성과 타동성 254.2 문장구성요소의 특성과 타동성 274.3 서술 형용사 타동성의 위계 324.4 전치사의 특성에 따른 서술 형용사 타동성 34제5장 결론 37참고문헌 39Abstract 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