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군, 눈질환군, 그리고 전신질환군을 대상으로 각각 정시, 원시, 근시로 나누어 백내장 수술 전?후의 시력회복과 관련된 검사값들을 비교하여 백내장수술의 예후 변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2014년부터 2019년까지 강원도 강릉 소재의 안과의원에서 백내장수술을 받은 환자 중 수술 후 180일까지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780명(단안, 780안)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문진 및 의무기록을 통해 눈질환 및 전신질환을 확인하였고, 분석은 수술 전, 수술 1일 후, 30일 후, 180일 후 검사값을 이용하였다. 자동굴절검사기(ARK-8900, Topcon, Japan), 자동안압계(CT-80, Topcon, Japan), 안구계측기(AL scan®, Nidek, Japan)를 이용하여 굴절이상도, 안압, 그리고 각막 전면난시를 측정하였으며, 타각적 굴절검사와 자각적 굴절검사를 실시하여 굴절이상과 교정시력을 확인하였다. 굴절이상의 구면굴절력은 수술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수술 전 예상 구면굴절력보다 원시방향으로의 변화를 보였는데, 원시가 정시나 근시보다 더 큰 변화를 보였다. 백내장수술 후 원주굴절력과 각막 전면난시는 수술 전 보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당뇨군에서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원시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교정시력은 모든 군에서 향상되었고 수술 30일 이후부터 다소 감퇴하는 경향을 보였다. 난시 축 변화량은 근시군의 22명에서 50° 이상의 변화가 발생하였으며, 정시와 원시에서는 50° 이상의 변화는 발견되지는 않았다. 근시에서 50° 이상의 난시 축 변화가 있는 22명 중 가장 높은 각막 전면난시는 ?0.67 D이었다. 안압은 모든 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녹내장진단군(glaucoma-diagnosis)과 녹내장치료군(glaucoma-treated)에서 3 mmHg 이상 큰 감소를 보였다. 감소된 안압은 수술 180일 후까지 유지되었다. 눈질환 및 전신질환 유무에 관계없이 백내장수술은 교정시력 향상과 안압저하에 효과적이며, 동축소절개(microcoaxial)에 의한 백내장수술은 당뇨군을 제외하고 각막 전면난시를 감소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수술 전 낮은 굴절력의 각막 전면난시를 갖는 근시환자에서는 수술 후 큰 난시 축 변화가 발생할 가능성에 주의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백내장수술 후 굴절이상, 눈질환, 그리고 전신질환에 의한 유의한 예후변화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o figure out the variation of prognosis after cataract surgery comparing the measured values related to visual recover between before and after surgery in that normal group, eye disease group, and systemic disease group which were subclassified into emmetropia, hyperopia, and myopia. The medical records of 780 patients (monocular, 780 eyes) who received cataract surgery at ophthalmic clinics located in Gangneung, Gangwondo from 2014 to 2019 and could be followed-up till 180 days after surgery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Eye disease and systemic disease were identified through interview-based medical examination and medical records, and for analysis, the examination values before surgery, one day after surgery, 30 days after surgery, and 180 days after surgery were used. Refractive error, intraocular pressure, and corneal astigmatism of anterior surface were measured with ARK-8900 (Topcon, Japan), CT-80 (Topcon, Japan), and AL scan®(Nidek, Japan), and objective refraction and subjective refraction were performed to find the refractive error and corrected vision. With time after surgery, the spherical power of refractive error showed changes in the hyperopia direction than the expected spherical power before surgery, and hyperopia showed bigger changes than emmetropia or myopia. Cylindrical power and anterior corneal astigmatism showed a reduction compared to before surgery, but the diabetes mellitus group showed an increase in the hyperopia direction over time. Corrected vision increased in all groups and showed a gradual reduction from 30 days after surgery. Astigmatism axis showed changes by over 50° in 22 individuals from the myopia group, and in both emmetropia and myopia, changes by over 50° were not observed. In myopia, the highest anterior corneal astigmatism among 22 individuals who showed changes in astigmatic axis by over 50° was ?0.67 D. Intraocular pressure showed a reduction in all groups, and glaucoma-diagnosis group and glaucoma-treated group showed a big reduction by over 3 mmHg. The reduced intraocular pressure was kept up to 180 days after surgery. Though there is eye disease or systemic disease, cataract surgery was effective for improving corrected vision and decrease the ocular pressure. Microcoaxial surgery was effective the reduction in anterior corneal astigmatism for all subjects except them of diabetes. It has to notice that the myopic patients having a low corneal astigmatism of anterior surface will be able to have a lot of changes in astigmatic axis after surgery. In conclus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prognostic changes after cataract surgery caused by refractive errors, eye disease and systemic disease.
Ⅰ. 서론 1Ⅱ. 대상 및 방법 51. 연구 대상 52. 연구 방법 53. 통계 및 분석 7Ⅲ. 결과 91. 질환이 없는 굴절이상안에서 백내장수술 후의 변화 92. 눈질환이 있는 굴절이상안에서 백내장수술 후의 변화 183. 전신질환이 있는 굴절이상안에서 백내장수술 후의 변화 39Ⅳ. 고찰 56Ⅴ. 결론 61Ⅵ. 참고문헌 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