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박성원 (강원대학교, 강원대학교 대학원)

지도교수
한영지
발행연도
2020
저작권
강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16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11)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PM(Particulate Matter)은 다양한 자연적 발생원과 인위적 발생원에서 유래된다. 공기역학적 직경이 각각 10 μm, 2.5 μm 이하의 입자상 물질인 PM10과 PM2.5는 호흡기질환과 심혈관계 질환을 야기하는 등, 인체 건강에 악영향을 준다는 연구가 다수 진행된 바 있다. 중소규모의 주거 및 관광도시인 춘천은 PM2.5의 중대규모 1차 배출원이 존재하지 않지만 서울과 인천과 같은 대도시로부터 중, 장거리 수송 대기오염물질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위치에 있다. PM2.5와 건강 영향과의 상관성을 나타내는 데에 대해 PM2.5 질량 농도만으로 그 연관성을 밝혀내기에 충분하지 않다는 연구가 나오면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PM2.5 구성 성분들의 건강 영향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체내로 흡입된 입자는 인체 내에서 활성 산소 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을 생성하여 산화스트레스를 발생시켜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 산화스트레스 발생 능력을 간접적으로 평가하는 방법 중의 하나가 산화잠재력(Oxidative Potential, OP)의 측정이다. 또한, OP에 PM2.5 질량 농도를 곱하여 포집된 공기 부피 당 산화력인 산화부담(Oxidative Burden, OB)을 이용하여 환경 내에서 개인 노출 정도를 평가하는데 사용된다. 이 연구에서는 춘천시에서 채취한 PM2.5 의 질량 농도 뿐만 아니라 이온 성분, 탄소 성분, 미량원소를 포함한 구성 성분과 산화잠재력이 함께 측정되었다. PM2.5 내 산화잠재력은 호흡기 내막 액(Respiratory Tract Lining Fluid, RTLF) 내에 존재하는 항산화물질인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AA)과 환원된 글루타싸이온(Reduced glutathione, GSH)의 감소율을 분석함으로써 측정하였다. 또한 인체내에 존재하는 항산화물질은 아니지만 PM과 같은 반응성 물질에 대해 감소하는 다이타이오트레이톨(Dithiothreitol, DTT)의 감소율을 이용한 측정법도 사용하였다.
연구기간 동안 춘천의 PM2.5의 평균 질량 농도는 19.9 ± 13.1 ㎍/m3으로 연간 대기환경기준을 초과하였으며 여름에 낮고 겨울에 높아지는 뚜렷한 계절적 변화를 나타냈다. 이온 성분 중 NO3-은 겨울철 낮은 온도조건에서 높은 농도를 보이고 SO42-는 여름철 광화학반응에 의해 증가하였다. 또한, 미량원소는 봄과 여름철에 지각원소의 증가로 인해 PM2.5에 대한 기여율이 전반적으로 증가하였다. 유기탄소(Organic Carbon, OC)와 무기 탄소(Elemental Carbon, EC)사이에서는 높은 상관성이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높은 OC/EC 비율이 나타나, OC와 EC가 차량 배출원 외에 동일한 일차 배출원의 영향을 중요하게 받았음을 시사한다.
세 가지 분석법으로 측정한 산화잠재력 즉, OPAA, OPGSH, OPDTT는 연구기간 동안 각각 평균 4.2 ± 1.0, 4.8 ± 2.1, 26.6 ± 12.3 pmol/min?㎍ PM이었으며 PM2.5 질량 농도와 모두 유의미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아 입자의 독성은 PM2.5 질량 농도와 무관함을 나타냈다. 산화부담인 OBAA, OBGSH, OBDTT는 각각 평균 82.7 ± 60.5, 106.6 ± 82.3, 579.2 ± 442.4 pmol/min?m3 으로 나타났으며 PM2.5 질량 농도와 유의미한 상관성을 보였다. 본 연구와 동일한 분석방법으로 OP를 측정한 토론토의 연구결과와 비교했을 때 춘천에서의 OPAA, OPGSH가 토론토에 비해 약 1.5배, OPDTT가 5배 높았으며 OBAA, OBGSH가 5배, 그리고 OBDTT가 20배 높게 나타났다. PM2.5의 구성 성분의 질량 농도에 대한 기여율을 상위 20%와 하위 20%의 OP 시료에 대해 비교하였을 때 상위 20%에서 질산염의 기여율이 높고 하위 20%에서 황산염의 기여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 20%의 OPGSH와 OPDTT시료에서는 모두 Al과 Ca2+의 기여율(PM2.5에 대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OP와 PM2.5의 구성 성분과의 피어슨 상관분석 결과, OPAA에서 EC, Mg, K, Fe, Ti, Pb, Ba 성분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OPGSH는 Al에서만 좋은 상관성을 보였으며 OPDTT는 Al과 Ca2+ 과 유의미한 상관성을 보여, OPGSH와 OPDTT는 지각성분의 영향을 높게 받으며 OPAA는 토양 및 도로의 비산과 인위적 배출원의 영향을 받는다고 판단된다.

목차

Ⅰ. 서론 1
1. PM2.5와 산화잠재력
1) PM2.5 정의 및 구성 성분 1
2) 산화잠재력 2
2. 연구배경 3
3. 연구목적 5
Ⅱ. 실험방법 6
1. PM2.5 채취 6
2. PM2.5의 질량 농도 7
3. PM2.5의 이온 성분 7
4. PM2.5 탄소 성분 및 미량원소 9
5. 산화잠재력 측정 11
1) 추출 및 재추출 11
2) 반응 시약의 제조 11
(1) Sodium phosphate buffer 11
(2) RTLF solution 12
3) AA 및 GSH 분석 12
4) DTT 분석 15
6. QA/QC 16
Ⅲ. 결과 19
1. PM2.5 질량 농도 및 화학적 성분 19
1) 질량 농도 특성 19
2) 이온 성분 특성 22
3) 탄소 성분 26
4) 미량원소 29
2. PM2.5의 산화잠재력과 산화부담 32
1) PM2.5의 산화잠재력 및 산화부담 32
2) PM2.5 질량 농도와 산화잠재력 및 산화부담 34
3) PM2.5 구성 성분과 산화잠재력 및 산화부담 38
4) 타 논문과 비교 43
Ⅳ. 결론 및 고찰 45
□ 참고문헌 47
□ Abstract 51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