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6
2020
제 1 장 서론 ……………………………………………………………………………… 11.1 연구배경 …………………………………………………………………………… 11.2 연구의 필요성 …………………………………………………………………… 61.3 연구 목적 및 내용 ……………………………………………………………… 81.4 논문의 구성 ……………………………………………………………………… 9제 2 장 LED 조명 ……………………………………………………………………… 102.1 LED ………………………………………………………………………………… 102.1.1 LED의 특성 …………………………………………………………………… 102.1.2 LED의 종류 …………………………………………………………………… 132.1.3 LED의 파장 …………………………………………………………………… 162.2 LED의 조명 ………………………………………………………………………… 182.2.1 LED 조명의 종류 …………………………………………………………… 182.2.2 LED 조명의 조광제어 ……………………………………………………… 202.2.2.1 아날로그 디밍(Analog Dimming) 제어 ……………………………… 212.2.2.2 펄스폭변조 디밍(Pulse Width Modulation Dimming) 제어 ………… 222.2.2.3 아날로그 디밍과 펄스폭변조 디밍의 비교 ………………………… 232.3 LED 조명의 플리커 ……………………………………………………………… 232.3.1 플리커의 영향 ………………………………………………………………… 232.3.1.1 플리커의 발생원인 ……………………………………………………… 242.3.1.2 플리커가 인체에 미치는 유해성 ……………………………………… 252.3.1.3 플리커가 사진 혹은 동영상에 미치는 영향 ………………………… 25제 3 장 PWM 디밍이 카메라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과 대책 …………………… 273.1 LED 조명의 PWM 디밍이 카메라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 273.1.1 카메라 노출시간이 LED 조명의 PWM 주기보다 짧은 경우 ………… 283.1.2 카메라 노출시간이 LED 조명의 PWM 주기보다 긴 경우 …………… 293.2 카메라의 노광량 변동 특성 해석 ……………………………………………… 323.2.1 셔터 구동 신호와 PWM 신호의 위상차에 따른 노광량 변동 특성 … 383.2.2 노광량 변동 특성에 따른 동영상 플리커 ………………………………… 413.3 PWM LED 조명 환경하에서의 이미지 플리커 특성 평가 실험…………… 463.4 카메라 이미지 플리커 최소화를 위한 다채널 인터리브드 PWM 디밍 방법 … 54제 4 장 kW급 대용량 플리커 프리 LED 조명의 고주파 PWM 디밍 …………… 594.1 구동 주파수 선정을 위한 대용량 LED 보드의 구동 특성 평가 …………… 604.2 kW급 대용량 250 kHz 4채널, 1 MHz PWM 디밍 LED 조명 드라이버 … 684.3 실험 결과 및 고찰 ……………………………………………………………… 754.3.1 동영상 이미지 플리커 특성 평가 …………………………………………… 774.3.2 LED 구동 특성 및 디밍 특성 평가 ……………………………………… 85제 5 장 결론 ……………………………………………………………………………… 9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