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조한희 (원광대학교,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지도교수
김재수
발행연도
2021
저작권
원광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57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5)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최근 야외공연장은 각종 공연이나 행사 등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공연 시 비나 눈 등의 악천후에는 공연이 불가능하고, 공연 시 발생하는 강한 악기음들이 소음을 유발 해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돔형 막 구조 천장을 설치하고 있으나 공연장 내부에서 소리가 서로 뒤섞이는 심각한 음향적 결함이 발생하여 운영 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천장 막 구조 아래에 현수흡음체를 설치하여 음향성능을 개선하는 방안에 대해 검토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국내에 이에 대한 연구 및 시공사례가 없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뿐만 아니라 최근 막 구조 야외공연장 천장에서 발생하는 음향적 결함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대책을 수립했음에도 불구하고 공연자나 청중들이 느끼는 음향성능에 대한 만족도는 개선되지 않아 음향성능 평가 시 주관적 음향성능에 대한 평가도 병행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평택, 서울, 임실에 건립된 막 구조 야외공연장 3곳을 대상으로 음향성능 측정, 음향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음향성능 개선안 제안, 가청화 기법을 이용한 청감실험 등을 통해 야외공연장의 음향성능 개선에 따른 사람들이 느끼는 반응정도 및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개선 전 야외공연장의 음압레벨(SPL500Hz)은 67.3∼69.0dB, 청감보정음압레벨은 74.3∼78.7dB(A), 잔향시간(RT500Hz)은 2.19∼3.82초, 초기감쇠시간(EDT500Hz)은 2.36∼4.60초, 음성명료도(D50,500Hz)는 11.4∼37.9%, 음악명료도(C80,500Hz)는 ?4.5∼-0.5dB, 음성전달지수(RASTI)는 42.7∼53.4%로 나타났다. 따라서 “풍물공연장”에서 요구하는 음향성능을 크게 벗어나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2. 개선 후 야외공연장의 음압레벨(SPL500Hz)은 60.6∼64.7dB, 청감보정음압레벨은 65.0∼68.8dB(A), 잔향시간(RT500Hz)은 1.28∼1.66초, 초기감쇠시간(EDT500Hz)은 1.48∼1.76초, 음성명료도(D50,500Hz)는 49.4∼55.8%, 음악명료도(C80,500Hz)는 2.1∼2.8dB, 음성전달지수는 53.9∼58.5%로 개선되었다. 따라서 음향성능 개선 후에는 “풍물공연장”에서 요구하는 음향성능 평가지수를 충분히 만족하고 있다.

3. 청감실험 결과 개선 전에는 “울린다”, “크다”, “박력 있다” 에 대한 반응이 다른 어휘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명쾌하다”, “청아하다”, “친밀감 있다”, “깊이 있다”, “짜임새 있다”에 반응은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개선 후에는 “울린다”, “크다”, “박력 있다”에 반응이 개선 전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며, “명쾌하다”, “청아하다”, “친밀감 있다”, “깊이 있다”, “짜임새 있다”에 반응은 개선 전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물리적 음향성능을 개선함으로써 주관적 반응도 함께 변화되었다.

4. 청감실험을 통해 음향성능 개선 전·후의 평가어휘별 SD척도의 개선량을 분석해 보면 “울린다”, “크다”, “박력 있다”의 요소는 ?6.1%∼-30.3% 감소하였으나 “명쾌하다”, “청아하다”, “친밀감 있다”, “깊이 있다”, “짜임새 있다”의 요소는 13.0∼45%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물리적 음향성능이 개선되면 사람들이 느끼는 주관적 음향성능도 개선됨을 알 수 있다.

5. 청감실험을 이용하여 음향성능 개선 전·후 사람들의 반응을 살펴본 결과 ‘울림’과 ‘음량’에 대한 반응은 감소하고 ‘명료성’과 ‘친밀감’에 대한 반응을 증가하였다. 따라서 물리적 음향성능의 개선과 사람이 느끼는 주관적 반응과는 상당히 밀접한 관련성을 갖고 있으므로 향후 음향성능 평가 시 이러한 두 가지 평가방법을 병행할 필요가 있다.

목차

Ⅰ. 서 론 1
1-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1-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2
Ⅱ. 이론적 고찰 5
2-1 건축음향 성능의 평가방법 5
2-1-1 물리적 측정 및 평가방법 5
2-1-2 주관적 음향성능 평가방법 8
2-1-3 가청화(Auralization)에 의한 평가방법 15
2-2 음향심리의 개념과 평가방법 17
2-2-1 음향심리의 개념 17
2-2-2 음향심리의 측정 19
Ⅲ. 막 구조 야외공연장의 음향성능 실태 분석 35
3-1 야외공연장의 제원 35
3-2 야외공연장의 음향성능 측정방법 39
3-3 야외공연장의 음향성능 실태분석 41
3-3-1 음압레벨(SPL, Sound Pressure Level) 41
3-3-2 잔향시간(RT, Reverberation Time) 45
3-3-3 초기감쇠시간(EDT, Early Decay Time) 49
3-3-4 음성명료도(D50, Definition) 52
3-3-5 음악명료도(C80, Clarity) 54
3-3-6 음성전달지수(RASTI) 57
3-4 소 결 59
Ⅳ. 막 구조 야외공연장의 음향성능 개선 61
4-1 음향시뮬레이션 61
4-1-1 음향시뮬레이션 개요 61
4-1-2 음향시뮬레이션의 신뢰성 검토 63
4-2 막 구조 야외공연장의 음향성능 개선방안 제시 64
4-2-1 평택 한국소리터 64
4-2-2 서울놀이마당 67
4-2-3 임실 필봉문화촌 69
4-3 음향성능 개선 후 음향성능 평가 70
4-3-1 음압레벨(SPL, Sound Pressure Level) 70
4-3-2 잔향시간(RT, Reverberation Time) 75
4-3-3 초기감쇠시간(EDT, Early Decay Time) 80
4-3-4 음성명료도(D50, Definition) 83
4-3-5 음악명료도(C80, Clarity) 86
4-3-6 음성전달지수(RASTI) 89
4-4 소 결 92
Ⅴ. 가청화를 이용한 주관적 음향성능 평가 94
5-1 청감실험을 위한 음원 및 어휘의 구성 94
5-1-1 청감실험을 위한 음원구성 94
5-1-2 청감실험을 위한 어휘구성 99
5-1-3 청감실험 방법 및 실험 100
5-2 청감실험을 통한 주관적 반응변화 분석 101
5-2-1 각 평가음원에 대한 어휘별 반응 101
5-2-2 각 평가어휘에 대한 주관적 반응의 비교 108
5-2-3 각 평가어휘별 SD척도 개선정도 비교 114
5-2-4 개선 전·후 평가어휘별 주관적 반응 변화 분석 116
5-3 소 결 131
Ⅵ. 결론 133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