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문성재 (전남대학교, 전남대학교 대학원)

지도교수
임영석
발행연도
2021
저작권
전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20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5)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현대사회가 급격히 발전하고 인간생활이 풍부해짐에 따라 생활이나 작업에 필요한 최소한의 밝기가 아닌 다양한 생활양식과 삶의 질적 향상, 에너지 절감 측면에서 건강한 조명환경에 대한 필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빛과 색을 이용한 감성조명의 적용과 활용은 빛 환경에서 생활하는 인간의 정서와 행위에 여러 가지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이에 따른 사람의 심리에 따라 조명에 대한 밝기(조도), 색온도 등의 선호도가 다르며 피로도, 작업효율, 집중력 등에 영향을 받는다. 기존의 공간 조도와 색온도 검출방법은 조도 또는 컬러센서를 활용해 검출되고 있으나, 센서의 특성인 좁은 FOV(Field of View)로 측정 위치에 따라 데이터가 달라져 균일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균일성이 감소하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이미지센서모듈을 활용한 공간 조도 및 색온도를 검출방법을 연구하였다. 제안된 공간 조도 및 색온도 검출방법은 이미지센서모듈의 AE(Auto Exposure)와 AWB(Auto White Balance) 동작할 때 발생하는 Shutter Speed, Sensor Gain, R/G/B Gain값을 생성된 LUT(Look Up Table)와 Mapping 한다. 광원박스 환경, 실내 사무실 환경, 실외 환경에서 성능을 확인한 결과 이미지센서모듈을 활용한 방법이 기존의 조도 또는 컬러센서를 이용한 방법보다 공간 조도는 최대 평균 496%, 공간 색온도는 최대 평균 39% 균일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으며, 쉽게 구현이 가능해 적은 비용으로도 공간 조도 및 색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환경정보를 기반으로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정밀한 시스템 제어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국문초록) 1
1. 연구배경 및 목적 3
가. 연구 배경 3
나. 연구 목적 및 내용 4
2. 기존 조도/컬러센서 기반 공간 조도 및 색온도 검출방법 6
가. 조도센서를 활용한 공간 조도 검출 6
1) 조도센서 6
2) 조도 계산법 6
3) 공간 조도 검출 알고리즘 11
나. 컬러센서를 활용한 공간 색온도 검출 11
1) 컬러센서 11
2) 공간 색온도 검출 알고리즘 12
다. 기존 방법의 문제점 13
3. 이미지센서모듈 17
가. 이미지센서모듈 개요 17
나. 이미지센서모듈 발전 19
다. 이미지센서모듈 종류 23
1) CCD 이미지센서 24
2) CMOS 이미지센서 25
라. 이미지센서모듈 특성 26
1) 감도 26
2) 동작 범위 27
3) 해상도 27
4) 광학계 28
5) 읽어내는 방식 29
6) 전자 Shutter 30
마. CCD 이미지센서 전송방식 31
1) FT 방식 31
2) IT 방식 32
3) FIT 방식 33
바. CMOS 이미지센서 구조 34
1) 1-Transistor Passive 방식 34
2) 3-Transistor Active 방식 35
3) 4-Transistor Active 방식 35
4) 5-Transistor Active 방식 36
사. 이미지신호처리 37
1) Bayer 37
2) Interpolation 38
3) Color Correction 41
4) Gamma Correction 42
5) Color Space Conversion 43
6) Auto Exposure 44
7) Auto White Balance 45
4. 제안한 이미지센서모듈 기반 공간 조도 및 색온도 검출시스템 47
가. 이미지센서모듈을 활용한 공간 조도 및 색온도 검출 47
1) 공간 조도 검출 알고리즘 47
2) 공간 색온도 검출 알고리즘 48
3) LUT 생성 방법 49
나. 이미지센서모듈 설계 및 제작 52
1) OV9712 기반 이미지센서모듈 52
2) NVP2430 기반 이미지센서모듈 57
다. 검출시스템 설계 및 제작 62
5. 성능 평가 65
가. 광원박스 환경 65
나. 실내 사무실 환경 67
다. 실외 환경 71
라. 평가 결과 72
1) 광원박스 환경 공간 조도 및 색온도 72
2) 실내 사무실 환경 공간 조도 및 색온도 76
3) 실외 환경 공간 조도 및 색온도 77
6. 결론 및 향후 연구 방향 80
가. 결론 80
나. 향후 연구 방향 81
참고 문헌 82
영문 초록 87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