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김상만 (목포대학교, 목포대학교 대학원)

지도교수
문채주
발행연도
2022
저작권
목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23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소형풍력터빈(Small Wind Turbine)은 바람에너지로부터 동력을 얻어 전기를 생산하는 전기기기를 통칭하며 독립형과 계통연계형 용도로 세계적으로 소형풍력터빈은 용량에 따라 구분하고 있으나 특별히 발전차액지원제도(Feed in Tariff) 정책에 따라 50kW 이하를 소형풍력터빈으로 별도 지정하고 있으며 소형풍력시장은 발전차액지원제도의 시행 여부에 따라 시장형성이 크게 영향을 받고 있다. 소형풍력터빈은 독립형 전력시스템과 가전제품, 독립적인 적용및 에너지저장장치, 태양광, 소수력, 디젤엔진과 같은 다른 에너지기술을 조합하여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매력적인 대체품이다. 그래서 해외 선진국의 경우 전력 사용량이 많고 이산화 탄소를 줄이기 위하여 복합 시스템을 늘리는 추세이며 국내에서는 중앙전력망과 떨어진 도서지역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소규모 분산형 복합 발전시스템에 활용하고 있다, 또한 중소기업청에 발간한 ‘2017년 중소중견기업기술로드맵(2017-2019)’에서는 풍력산업분야에서 중소중견기업을 위한 전략 품목으로 소형풍력발전기와 풍력 로터허브를 선정하고 로드맵으로 제시하면서 국내에서 소형풍력터빈시스템 및 요소부품에 관련 연구 및 개발이 활성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래서 연구목적은 풍력블레이드 제작법과 구조가 가능한 상업용 개발과정과 유사성을 갖도록 50kW 풍력블레이드를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공력설계와 구조설계를 통해서 고효율 블레이드를 설계 및 3D 모델링하고 목함에 기반하여 제작된 몰드기법은 탄소섬유와 열경화성 수지인 유리섬유를 사용한 경량설계, 다중부목, 오목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채택한다. 수 작업형 시제품 제조법은 공기역학적인 평판형의 반복적인 설계를 통해서 단주기를 갖는 고밀도 형상 몰드를 사용하여 개발한 것이다. 5개의 블레이드 생산공정을 통하여 제작하고, 블레이드의 주요 구성요소는 IEC-61400-23 규정에 따라 설계의 적절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시험하며, 개발된 블레이드를 갖는 풍력시스템은 성능 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IEC 61400-12 규정에 따라 시험한다. 블레이드와 풍력터빈시스템의 시험결과는 상업 운전에서 요구되는 유효한 설계조건을 확인하였다.

목차

목 차 ⅰ
표 목차 ⅲ
그림목차 ⅴ
국문초록 ⅸ
1. 서 론 1
가. 연구 배경 및 목적 1
나. 국내외 관련 연구 동향 5
다. 논문의 구성 10
2. 블레이드 설계 및 제작 11
가. 풍력터빈 구조 및 원리 11
1) 풍력터빈 구조 11
2) 풍력터빈 원리 12
나. 블레이드 설계 14
1) 블레이드 공기역학 설계 15
2) 블레이드 최적 설계 51
다. 블레이드 제작 62
1) 블레이드 제작공법 62
2) 블레이드 소재 64
3) 블레이드 목함 제작 69
4) 블레이드 몰드 제작 71
5) 블레이드 제작 73
3. 블레이드 시험 및 고찰 77
가. 시험조건 77
나. 시험 장치 78
1) 시험 시스템 78
2) 측정 시스템 81
3) 시험 하중 결정 87
4) 시험절차 90
다. 결과 및 고찰 91
1) 무게 및 무게 중심 91
2) 블레이드 정적 강도 성능측정 92
4. 풍력터빈 시험 106
가. 풍력터빈 시험 평가 기준 106
나. 풍력터빈 사양 107
다. 풍력터빈 시험 및 결과 108
5. 결 론 111
참 고 문 헌 112
Abstract 117
부록 119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