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대회자료
저자정보
저널정보
한국태양에너지학회 한국태양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한국태양에너지학회 99 춘계태양에너지학술발표대회논문집
발행연도
1999.4
수록면
163 - 171 (9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3)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Using the five years data set of direct normal beam insolation measured in Seoul, we have analyzed the validity of two decomposition models which estimate hourly direct and diffuse solar insolation from hourly horizontal global irradiance measurements. The comparison has been performed in terms of the widely used statistical indicators such as MBE, RMSE, CV(RMSE), Degree of Agreement and t-Statistic. This results indicated that both of the correlations exhibit a tendency to underestimate the direct normal beam insolation. Most of big discrepancies between the measured and the predicted values was mainly shown in near the sunrising and the sunset period. Even though both models showed fairly large disagreement for the measured values by about 35%, 42% of CV(RMSE), Udagawa's correlation which includes the effect of solar altitude variation appears to performs always better in every statistical error tests.

목차

Abstract

1. 서론

2. 직산분리 예측모델 및 오차분석 방법

3. 서울지역 일사량 자원분석 결과

4. 실측치와 예측치의 오차분석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09-563-018151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