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38)

2018

산업부산물과 순환잔골재를 적용한 강섬유 보강 철근콘크리트 보의 구조성능 평가 고로슬래그 미분말 및 순환잔골재를 적용한 PVA섬유 보강 철근콘크리트 보의 구조성능 평가 PP섬유 및 강섬유를 혼입한 내화모르타르의 가열온도에 따른 내화특성 PP섬유 및 강섬유를 혼입한 내화패널 적용 철근콘크리트 보의 구조성능 평가 PP섬유 및 강섬유 혼입 내화패널의 내화성능 평가 PP섬유 및 PVA섬유를 혼입한 내화모르타르의 내화특성 구조물의 폭렬방지를 위한 PVA섬유 및 강섬유를 혼입한 내화모르타르의 내화특성 산업부산물과 순환잔골재를 활용한 친환경 섬유보강모르타르 보도블록의 휨강도 실험

2005

고인성 복합섬유 모르타르를 이용한 플랫 플레이트 구조 슬래브-기둥 접합부의 전단성능 개선 슬림형 바닥시스템을 이용한 고층 복합구조의 내진성능에 관한 해석적 연구 슬림형 바닥시스템을 이용한 고층 복합구조의 전단성능 평가 및 개선 슬림형 바닥시스템을 이용한 고층 복합구조의 내진성능 평가 및 개선 슬림형 바닥시스템을 이용한 고층 복합구조의 전단성능에 관한 해석적 연구 고층복합구조에 적용가능한 슬림형 플랫플레이트의 전단성능 개선 고인성섬유 복합모르타르 전단벽체의 구조성능 평가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Recently the construction of high-rise hybrid type building is progressively increased as the social demands. It is significantly important factors such as economy, the safety of structure, and the flexibility of internal space. Therefore new hybrid structural system, using slim flat plate system, is also required to be attained the reduction of story height, the flexibility and efficient use of space. The most suitable structural system is ,with the economy and flexibility, flat plate system in high-rise hybrid type building. But it was focused in the punching shear for high performance flat plate system in high-rise hybrid type building.
Therefore, in the study, to develop the new flat-plate system with high ductile, durable, good performance for the applications. It was evaluated the shear performance in the critical region of slab-column connection. And then high performance flat plate system, designed by the economy and safety, was developed as a new technique in the application of high-rise hybrid type building.

목차

Abstract
1. 서론
2. 슬림형 바닥시스템을 응용한 고층 복합구조 시스템의 실험
3. 초슬림형 바닥시스템을 적용한 고층 복합구조 시스템의 전단성능 해석
4.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09-540-0174186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