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현대정신분석 라깡과 현대정신분석 제8권 제2호
발행연도
2006.12
수록면
213 - 236 (2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언어와 담론을 사용하지 않는 그림이 표현하고자 하는 바는 창작가 자신의 욕망이다. 그 욕망은 작가의 존재에게 부족하거나 바라는 바이다. 그리고 그 욕망을 표현하는 수단으로써 사용되어지는 수단 중 하나가 이미지이다.
우리는 여기서 정신분석학의 무의식적 경험을 우리의 연구의 근간으로 삼으며 작가가 의식적으로나 무의식적으로 표현하고자 시도하는 작가의 무의식적 욕망의 의미를 정리하며 그 욕망의 이미지 찾아내 보고자한다.
그 무의식적 욕망의 이미지는 원초적 장면과 같이 우리의 무의식 속에 잠재되어 있던 무의식적 경험으로부터 야기되고 각인되어진 인상들이 우리를 ‘바라보게’하고 그 인상들을 자극할 수 있는 새로운 인상들과의 만남들이 작가를 창작의 세계로 이끌고 우리들 또한 해석하게 밀어낸다. 우리를 ‘생각하기’로 밀어내는 것은 인상들이다. 인상들을 생각하도록 밀어내는 인상들을 만난다면 이미지는 떠오를 것이다. 생각하기는 이미지를 떠오르게 한다. 한 오이디푸스적 아이의 인상이 사유하기에 이를 수 있는 철학적인 오이디푸스의 인상으로 의미를 갖게 된다. 그런데 이미지와 관련된 언어를 지배하는 욕망은 숙명적이다. 이미지를 위해서 언어는 발생하고 이미지는 확실해진다. ‘결핍된 욕망’이 담겨진 원초적 장면을 가지고 그 결핍된 욕망을 표현하고자하는 욕망에 따라서 이미지에는 항상 욕망이 담겨있다.
이미지가 단순한 재현일 뿐만 아니라, 욕망의 재현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주체는 ‘욕망의 주체’가 된다. 이미지는 더 이상 평면이 아니고 조형적 스테레오타입이 되기도 한다. 이미지는 공간의 개념과 더불어 감각과 상상력에 ‘변장’, ‘장식’, ‘위장ㆍ은폐’ 그리고 ‘강조’와 함께 ‘시선’을 던지기도 한다. 우리는 그 예들을 Salvador Dali의 작품들과 화가 자신의 변장에서 찾아 볼 수 있다.
Salvador Dali의 작품들 『아버지의 초상 Portrait de mon pere (1920년 또는1921년)』, 『욕망의 수수께끼, 어머니, 어머니, 어머니 L'Enigme du desir, ma mere, ma mere, ma mere (1929)』, 『두개골로 된 하프를 젖 짜는 듯 하는 평범한 대머리 관료(Bureacrate moyen atmosphericocephale en train de trair une harpe cranienne, 1934)』, 『가을의 카니발리즘(Cannibalisme en automne 1936-1937)』, 『나의 아버지 Mon pere (1976)』 등은 정신분석학에 근거한 우리의 이러한 욕망의 이론들을 증명하는 일련의 텍스트의 삽화들 같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이미지; 욕망의 장
3. 철학적인 오이디푸스의 욕망의 언어로써 이미지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09-185-016501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