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들머리
2. 선행연구의 검토
3. 인지언어학에서의 피동
4. 접미사피동 + ‘-어지다’유형
5. 어휘적 피동 + ‘-어지다’ 유형
6. 중첩피동의 인지구조
7. 마무리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Be와 Get 수동 구문 번역의 오류 지도 방안
통번역교육연구
2015 .01
한국어 피동사의 상적 의미와 특성 연구
인문언어
2018 .01
A COMPARATIVE STUDY OF JAPANESE PASSIVE AND KOREAN PASSIVE
언어학
2002 .07
The Origin of Korean English Learners’ Errors in Translating English Passive Constructions into Korean
통번역교육연구
2017 .01
영어와 한국어 수동문 비교연구
영어영문학연구
2009 .01
‘목적어 있는 피동문’에 대한 재고(再考)
어문학
2017 .12
자동사의 수동화와 태범주 : 한일어 비교의 관점에서
언어과학연구
2001 .06
把字句와 (역-)피동태에 관한 소고
중국언어연구
2020 .01
Passivization of Accusative Object-Verb Idioms and Null Passive Morphemes
언어과학연구
2017 .06
GET-수동문의 의미 분석
새한영어영문학
2000 .06
Get-수동구문의 빈도 및 의미 제약에 관한 코퍼스 기반 연구
영어학연구
2020 .01
영어 굴절의 변화와 수동문의 발달 연구
영어영문학연구
2007 .01
한국어 피동 표지의 다의성과 습득 양상 -피동과 가능 기능의 구별
이중언어학
2016 .01
국어 피동의 相
어문학
2008 .06
정보구조를 이용한 수동태 교육
영어영문학연구
2013 .01
日 · 韓受動文の形式と意味の相関性について
일본연구
2018 .08
다의성을 띤 피동사의 사전 처리 고찰
언어사실과 관점
2019 .01
A Unified Approach to the Get-Passive
언어과학연구
2011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