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들어가는 말
Ⅱ. 식민지 근대 사회와 신여성: ‘사회적 존재’ 로서 여서주체의 등장
Ⅲ. ‘신여성’ 담론과 성애화 : ‘애인’ 혹은 ‘탕녀’ 의 자리
Ⅳ. 근대 여성주의의 출현과 ‘반격’,그리고 성(섹슈얼리티)
Ⅴ. 맺음말 : 끝나지 않은 이야기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여성과사회』10호를 내며
여성과 사회
1999 .05
『여성과사회』 9호를 내며
여성과 사회
1998 .06
기독교 여성담론의 주체와 주제
젠더와 문화
2008 .12
[농림축산식품부] 친환경 시설하우스용 전기구동 이식기 개발 최종보고서
국립중앙도서관 연계자료
2017 .01
여성과 암
한국여성학
1992 .01
1980년대 한국의‘새로운’여성운동의 주체 형성 요인 연구 : 크리스챤 아카데미의‘여성의 인간화’담론과 ‘여성사회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2009 .12
무관심한 여성, 못느끼는 여성
과학과 기술
2004 .01
여성을 요구하지 않는 사회
여성과 사회
1995 .06
신여성현상의 세계적 차원과 사회적 차이 : 영국, 일본, 그리고 인도와 중국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2006 .03
여성리더십에서 고찰해 본 한국여성행정의 발전방향
문화기술의 융합
2018 .01
부산지역 여성주의 지식생산의 전개 및 전망 : 여성주의 지식의 위기 또는 쇠퇴?
한국여성학
2014 .09
한국 여성의 정치참여와 여성정책에 관한 연구: 1960년대부터 현재까지 : 여성 정치참여와 여성교육 및 정책의 변화를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
2004 .05
식민지 신여성, 담론의 과잉, 주체의 혼종, 김수진 신여성, 근대의 과잉: 식민지 조선의 신여성 담론과 젠더정치, 1920~1934 (소명출판, 2009)
페미니즘 연구
2010 .04
한국의 여성정치와 여성정책
젠더와사회
1998 .04
장애여성의 섹슈얼리티 : 여성주의적 고찰
아시아여성연구
2005 .05
신자유주의 시대 여성 자아 기획의 이중성과 ‘속물’의 탄생 : 베스트셀러 여성 자기계발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2016 .06
1930년대 ‘신식’화장담론이 구성한 소비주체로서 신여성 : 여성잡지『신여성』,『신가정』,『여성』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학센터 학술대회자료집
2006 .10
[한국여성개발원] 아·태지역 여성사회교육 비교연구
국립중앙도서관 연계자료
1998 .01
[특집/한국 여성1] 여성의 법적 지위
현상과인식
1983 .09
〈신여성〉과 식민지 담론장
이화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학센터 학술대회자료집
2005 .1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