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머리말
2. 왕실자료의 정리와 영조의 어제류
3. 영조 어제책의 서지적 특성
4. 대상자료의 체재와 내용
5. 언해 및 필사시기
6.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朝鮮後期 宮中 御筆 收藏과 印刊 : 1725년 『乙巳列聖御筆刊進及景宗大王御筆屛風謄錄』의 분석
장서각
2004 .12
15세기 말엽부터 16세기 중엽까지 경연의 변모와 그 의미
역사와실학
2013 .08
영조의 어제 훈서류의 언해와 그 의미
언어학 연구
2019 .01
조선 초기 王親婚 王室 妾子孫에 대한 사회적 인식
한국사학보
2012 .08
조선중기(연산군~현종) 後宮의 입궁과 사회적 위상
한국사연구
2011 .09
영조의 제왕학과 『御製自省編』
장서각
2012 .04
조선후기 영조의 세손교육과 왕권의식
역사와실학
2008 .12
고려의 ‘不稱姓’의 특권과 王家
역사와 담론
2018 .01
Royal Genealogical Records of the Joseon Royal Family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08 .06
고려 전기 정기적 국왕 행사의 내용과 의미
역사와현실
2013 .03
Next of “King”
Localities
2016 .11
1802년 순조의 嘉禮에 나타난 국왕의 辛行 연구
장서각
2005 .12
集安지역 高句麗 王陵의 造營
고구려발해연구
2008 .07
대한제국기 신설 宮의 재정 기반과 황실 재정 정리
역사교육
2008 .03
새 자료 번역필사본 『망남□』에 대하여
중국어문학논집
2019 .10
조선 왕실의 기양의례 : 移御
역사민속학
2009 .07
고구려 王號의 변천과 성격
한국고대사연구
2002 .12
芝村 金邦杰 만년의 삶의 지향과 문학세계
한국인물사연구
2015 .03
영조어제의 봉모당 소장 양상 고찰
장서각
2018 .1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