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머리말
Ⅱ. 宗國을 위한 세손교육과 그 방법
Ⅲ. 세손교육의 내용
Ⅳ. 세손의 지위확립과 왕권의식
Ⅴ. 맺음말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고려시대의 태자 책봉과 책봉례
역사와경계
2011 .09
영조의 어제 훈서류의 언해와 그 의미
언어학 연구
2019 .01
영조의 제왕학과 『御製自省編』
장서각
2012 .04
조선초기 왕세자의 국가의례 참여와 그 성격
역사민속학
2009 .07
고구려의 태자 책봉제 수용 과정 고찰
한국사연구
2011 .06
‘승계계획’의 측면에서 본 조선시대 세자에 대한 연구
한국학논집
2020 .03
英祖 御製冊의 자료적 성격
장서각
2004 .07
1749년 우역제사의 시행과 그 이유
장서각
2020 .04
<자성편(自省篇)>에 나타난 영조의 윤리의식 연구
동양고전연구
2019 .01
세자 광해군 : 용상을 향한 멀고도 험한 길
한국인물사연구
2013 .09
영조어제의 봉모당 소장 양상 고찰
장서각
2018 .10
영조어제첩에 나타난 영조노년의 정신세계와 대응
장서각
2006 .12
『승정원일기』를 통해본 昭顯世子의 病症과 死因
사학연구
2010 .12
世宗의 王子 敎育
한국사상과 문화
2005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