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다의어와 동의어
2. 다의어의 의미적 대립
3. 다의어의 의미계층
4. 다의어의 의미구조
5. 다의어의 의미배열
6.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러시아어 다의어 의미확장 연구
노어노문학
2011 .06
다의어의 의미분석
국어교육연구
1977 .12
Current Trends in Lexical Semantics and Polysemy
신영어영문학회 학술발표회 자료집
2000 .02
다의어 ‘눈’의 의미 확장 연구
담화와인지
2002 .06
A Review of Approaches to Polysemy
언어
2002 .03
한국어 도구격 조사의 다의어 체계
언어
1999 .09
어휘함수를 이용한 노-한 기계번역 시스템의 다의어 제어 변환규칙
노어노문학
1999 .12
어휘함수를 이용한 한국어 어휘 관계의 기술
어학연구
2001 .09
학교문법 다의어 교육 내용의 현황과 대안
우리말연구
2015 .01
다의어의 비대칭 양상 연구
언어과학연구
1998 .12
국어사전에서 흉내말의 다의어·동형어 판별에 대한 연구
겨레어문학
2014 .01
북한이탈주민의 인문치료 글쓰기 어휘 분석
어문론집
2014 .06
대규모 우리말 어휘지능망 구축 방법
한글
2006 .09
조선어다의어의 의미체계에 대하여
중국조선어문
1989 .01
국어 어휘의 변화
언어과학연구
2001 .12
Analysis of Lexical Complexity in Korean EFL Students’ Narrative Writing
영어교과교육
2013 .01
한국어 텍스트의 어휘 다양도와 어휘 밀도 분석
언어사실과 관점
2017 .01
한국어 학습 사전에서의 다의어 처리 문제
한국사전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3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