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요약
1. 머리말
2. 왕실 교육기관과 세자의 입조
3. 세자의 의례 참여와 學儀
4. 明禮의 수용과 세자 位次의 변화
5. 맺음말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고려시대의 태자 책봉과 책봉례
역사와경계
2011 .09
‘승계계획’의 측면에서 본 조선시대 세자에 대한 연구
한국학논집
2020 .03
고구려의 태자 책봉제 수용 과정 고찰
한국사연구
2011 .06
세자 광해군 : 용상을 향한 멀고도 험한 길
한국인물사연구
2013 .09
소현세자의 왕세자 교육
국학연구
2011 .06
영조의 제왕학과 『御製自省編』
장서각
2012 .04
『승정원일기』를 통해본 昭顯世子의 病症과 死因
사학연구
2010 .12
조선후기 영조의 세손교육과 왕권의식
역사와실학
2008 .12
王世子 冊封으로 본 淸·朝 관계 (康熙 35년 乾隆 2년)
동양사학연구
2019 .03
『예기』와 선진 제자서의 상례 비교
율곡학연구
2019 .01
조선 태조ㆍ세종대 세자빈 폐출 사건의 의미 : 현빈 유씨, 휘빈 김씨, 순빈 봉씨를 중심으로
한국인물사연구
2010 .09
조선후기 ‘대리정치’의 권한 범주와 왕권
역사와 담론
2018 .01
正祖代 후반 王世子 관련 儀禮의 진행과 그 의미
동양학
2016 .01
性齋 許傳의 禮學과 變禮 論議에 대한 연구 − <士儀>에 보이는 變禮 辨疑를 중심으로 −
온지논총
2012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