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산 (한국체육대학교) 송일훈 (서울대학교)
저널정보
용인대학교 무도연구소 무도연구소지 武道硏究所誌 第20輯 第1號
발행연도
2009.12
수록면
1 - 17 (17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연구는 고조선 및 고구려시대의 각종 무기체계를 살펴볼 수 있는 유물 및 고서사료를 통해 당시 무예신체문화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는 다음과 같은 결론 도출을 얻었다. 첫째, 고조선시대에는 환두대도를 기본으로 발전해 갔으며, 장병(長兵)으로는 동모(銅矛)에서 발전한 여러 가지 형태의 철모(鐵矛)와 중국의 영향을 받은 동과(銅戈)가 여러 구병(句兵)으로 사용되었다. 둘째, 고조선 무기체계가 중국의 영향을 받아 발전하지만 고조선의 독자적인 무기체계가 존재하였다. 셋째, 고조선은 주로 활을 사용하였지만, 검과 도끼 등과 같은 단병과 장병인 모를 사용한 보병과 기병을 운용하는 군대가 있어서 검술과 부술(斧術), 모술(창술)을 사용되었다. 넷째, 고구려의 무기체계는 원거리 병기인 맥궁이라 불리던 활과 노(弩), 단병기로 도(刀), 장병기로는 모(矛), 극(戟), 기병(騎兵) 등의 긴 모인 삭(?)와 연(?)이 있으며, 기병이 이용한 과하마(果下馬)와 갑옷이 있었다. 다섯째, 고구려는 많은 전쟁을 수행하였는데 주로 원거리 무기인 활이 사용되었으며, 보병과 기병들이 수행하는 단접전에 사용된 무기는 근거리에서 찌르거나 베는데 사용하는 환두대도와 비슷한 모(矛), 과(戈), 극(戟), 삭(?) 등과 같은 여러 창들이 있었다. 여섯째, 고구려의 무예 무기체계는 여러 북방 민족의 활문화를 흡수하여 형성된 활과 노 같은 원거리 무기를 비롯하여, 보병이나 기병은 환두대도라 불리는 직도와 도끼 및 여러 종류의 창을 사용하였다. 일곱째, 고구려의 무예 무기체계는 주로 환두대도나 도끼를 이용한 힘으로 때리듯 찍거나, 자루가 긴 창으로 찌르거나 베거나 찍는 방법 등을 사용한 무예 무기체계가 있었다. 이상과 같이 종합해 볼 때, 앞으로 고조선 및 고구려시대의 무예신체문화에 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보다 구체적인 현시대의 무예신체문화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Abstract
Ⅰ. 서론
Ⅱ. 고조선시대의 무예 무기체계에 관해
Ⅲ. 고구려의 무예 무기체계에 관해
Ⅳ.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3-698-0026598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