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앱을 통한 소셜커머스 이용자가 증가하고 관련 앱들이 늘어나면서 사용자 경험 디자인측면에서 제대로 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을 하고 대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범위는 소셜커머스 애플리케이션 중 대표적인 티켓몬스터, 쿠팡, 그루폰의 3개의앱을 선정하여 설문조사, 그룹 인터뷰의 방법을 활용하여 사용자 경험에서의 선호도 조사를 하였다. 기술, 디자인, 유저인터페이스, 콘텐츠를 평가 기준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전체 선호도는 쿠팡, 티켓몬스터, 그루폰의 순으로 나타났다. 선호하는 앱의 디자인적 요소의 질문에 대한 의견으로는 쿠팡은 슬라이딩식의 세부 카테고리 정리로 검색이 용이하다, 디자인이 깔끔하다, 배경이 고급스럽다, 색감이 컬러풀하다 등의 의견이 있었다. 티켓몬스터는 보기 편하다, 비교적 어두운 색감이 많아 눈에 안정감을 준다, 메인 홈의 추천상품 배치로 상품 찾기가 편리하다 등의 의견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그루폰은 보기 편하고 찾기가 쉽다, 초보자가 사용하기 좋다 등의 의견이 있었다. 또한, 메뉴 배치에 따른 기본형식을 제시한 UX디자인 측면의 조사결과는 단순그래픽으로 제시한 항목에서는 사전조사의 예상대로 확연하게 List형식의 레이아웃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예시 앱 페이지를 제시한 질문에서는 List형식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Grid형식도 많이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Grid형식은 사이즈가 작은 모바일 앱에서는 많이 사용하지 않는 형식이다. 본 연구는 사용자 경험 디자인 차원의 소셜커머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조사로서의 가치에 의의를 두며, 모바일 앱에서 사용자경험의 최적화를 위한 연구가 지속되길 기대한다.
Recently the number of users of social commerce through apps and the number of related apps are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users of social commerce apps from a design perspective and whether or not proper services for these apps are offered and to suggest alternatives. For this purpose, three representative social commerce apps (Ticketmonster, Coupang and Groupon) were selected and users" experiences and preferences were surveyed using a questionnaire and a group interview. When technology, design, user interface and contents were surveyed, Coupang was the most preferred, followed by Ticketmonster and Groupon. Questions about the design elements of preferred apps revealed opinions that Coupang"s sliding detail category arrangement made searching easy, the design was tidy, the background looked good, and it was colorful. Ticketmonster was considered to be comfortable for viewing, with its comparatively dark colors pleasing the eye, and the arrangement of recommended items on its main home screen was convenient. Finally, opinions of Groupon included that viewing was comfortable and finding things was easy, and it was also considered to be good for beginners. As well, when various basic elements of menu arrangement were surveyed from a UX design point of view, as predicted from previous surveys, the list layout was clearly the most preferred in the item concerning the offering of simple graphics, as it was on the question offering example app pages, though the grid form was also frequently chosen. However, in smaller-size mobile apps, the grid form was rarely used. This study is valuable for the development of social commerce mobile applications in terms of user design experiences, and it is hoped that further research will be carried out on maximizing the experiences of users of mobile ap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