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들어가기
2. 프레임 개념의 상호작용사회언어학적 이해
3. 다중적 프레임의 갈등구조
4. 협동 구축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어와 영어 대화의 질문에 대한 상호작용 사회언어학적 분석
담화와인지
1996 .09
사회언어학으로 인터넷 통신 언어 분석하기 : 최근의 연구 현황과 과제
한국어학
2005 .05
日本における韓国語研究の社会言語学的接近
日本學硏究
2009 .01
사회언어학이란?
중국조선어문
1988 .05
성서 본문의 언어학적 연대 결정에 관한 사회언어학적 평가
성서학 학술세미나
2012 .03
AGE VARIABLES IN SOCIOLINGUISTICS
언어
1978 .12
사회언어학적 연구의 이론과 방법
새국어생활
2004 .12
‘역할 토론’을 활용한 토론 지도 방법
돈암어문학
2012 .12
[언어학지식] 사회언어학이란 무엇인가?
중국조선어문
1983 .09
왜 언어학인가?
중국어문논역총간
2001 .06
언어학의 새로 나아갈 길
한글
1959 .10
사회언어학과 한어방언학의 새로운 전기
중국어문논역총간
2015 .01
[토론문] 현대 한국인의 호(號) 사용 양상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분석
한국사전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6 .08
Language Teaching from a Discourse-based Perspective
언어
2009 .09
사회언어학 연구와 국어교육의 연계성 - 국어교육에 미치는 사회언어학적 영향을 중심으로 -
국어국문학
2005 .12
언어학과 응용언어학
국어교육연구
1979 .12
語用論 · 社会言語学研究の現状と展望
일본어학연구
2019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