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 고유의 전통주인 막걸리 제조시 생성되는 주박 추출물과 유기용매 분획물을 총 85종 분리하여, 이들의 대장암 세포주에 대한 항성장 활성과 활성기전을 연구하였다. 이들 중 세포생존율 연구결과에 따라 3가지 종류의 분획물(KSD-E1-3, KSD-E2-3, KSD-E4-3)을 선별하였다. 이 중 가장 활성이 높은 KSD-E1-3 분획물에 의한 유전체 수준에서의 유전자 발현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oligo DNA microarray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2배 이상 발현이 증가된 유전자들 가운데 항암 유전자인 NAG-1, ATF3, DDIT3 그리고 p21을 선별하여 추가 실험을 진행하였다. 세포생존율 결과에 따라 선별된 3가지 종류의 분획물(KSD-E1-3, KSD-E2-3 그리고 KSD-E4-3)에 의한 4가지 종류의 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 KSD-E1-3에 의하여 모든 유전자의 발현이 높게 증가되었다. KSD-E1-3에 의한 유전자의 발현이 전사조절인자 p53에 의존적인지 확인하고자 p53 null HCT116 세포주를 이용하여 RT-PCR한 결과, NAG-1, ATF3, 그리고 DDIT3 유전자 p53에 비의존적이었으며, 반면 p21 유전자는 p53에 의해서만 발현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주박 추출물이 다양한 기작에 의해 항암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함으로써 암 세포에 대한 항성장 활성을 보여주고 있음을 나타낸다.
In the present study, we prepared eighty-five different kinds of lees extracts and their solvent fractions and investigated their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against human colorectal cancer HCT116 cells. HCT116 cells were treated with eighty-five solvent fractions of lees extracts and then cell viability was measured using MTS assay. Among the treated solvent fractions, three solvent fractions (KSD-E1-3, KSD-E2-3, and KSD-E4-3) were selected based on cell viability assay. In addition, we performed an oligo DNA microarray analysis to analyze the gene expression changes by treatment of KSD-E1-3 in HCT116 cells. Among the up-regulated genes, we selected 4 genes (NAG-1, ATF3, p21, and DDIT3) and performed RT-PCR using gene-specific primers. Among the treated solvent fractions, KSD-E1-3 dramatically induced the expressions of the four selected genes. In addition, we investigated whether the up-regulations of those genes were dependent on the transcription factor p53’s presence using p53 null HCT116 cell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up-regulations of NAG-1, ATF3, and DDIT3 are not dependent on the p53 presence, whereas p21 is dependent on the p53 presence. These findings may help to understand the molecular mechanisms of the anti-proliferative activity mediated by rice wine lees in human colorectal cancer ce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