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들어가며
Ⅱ. 북한연구의 동향 변화
Ⅲ. 북한연구와 질적 방법론
Ⅳ.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북한이탈여성 통일 관련 인식에 관한 연구
다문화사회와 교육연구
2018 .02
북한연구방법론의 쟁점과 과제
통일과 평화
2019 .01
경쟁론적 관점에서 본 북한교육과 사회이동에 관한 연구
Journal of North Korea Studies
2021 .12
분단체제 탈북민 정책의 인식과 이행과제: ‘배제적 통합’의 영속화에 대한 비판
이화젠더법학
2019 .12
통일준비차원에서 북한주민의 법 인식 교정을 위한 지향점 도출 연구 : 사회주의법 및 북한법의 배경을 중심으로
한양법학
2016 .11
북향여성이 겪는 국가폭력에 대한 고찰 - 제3국 체류부터 신변보호담당관 단계까지 -
이화젠더법학
2020 .12
북한이탈청소년의 북한 소학교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교육과학연구
2017 .12
An Exploratory Study on the Distribution and Marketing Changes Under the North Korean System
산경연구논집
2020 .01
북한도시연구의 성과와 과제: 선행연구 분석 중심으로
Journal of North Korea Studies
2021 .01
Representation and Self-Presen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Image, Discourse, and Voices
Asian Journal of Peacebuilding
2020 .01
An Analysis of the State of North Korea’s Human Security and the Possibility of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The Korean Journal of Security Affairs
2022 .06
Three Difficulties for the North Korean Economy and Inter-Korean Cooperation
[KIEP] KIEP Opinions
2020 .10
분단 70년 북한연구 경향에 관한 고찰
통일정책연구
2015 .01
북한이탈주민 남성의 자기표상과 타인표상에 관한 연구
한국동북아논총
2022 .12
‘탈북청소년’이라는 범주화에 대한 비판적 검토
통일교육연구
2022 .06
South Korean Educators’ Experience with North Korean Defector Women and Their Young Children Through a Lens of Cultural Competence
다문화교육연구
2024 .09
북한이탈주민 남성의 남한사회 정착 과정에서 나타나는 자기/타인표상 연구
연구총서
2021 .12
고난의 행군 시기 이후 북한 학부모의 자녀교육지원에 관한 연구
Journal of North Korea Studies
2019 .01
탈북 아동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아동학회지
2018 .08
A Look Back at Past South Korean Government's Policies toward North Korea and Search for Sustainable Policy toward North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2024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