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및 내용
3. turn의 길이와 청자반응신호에서 본 공화의 성립
4. 화자의 공화 유도 발화에서 본 공화의 성립
5. 결론
참고문헌
REFERENCE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共話>の出現状況の一考察 : 先行発話に対する聞き手の情報所有の観点から
일본어학연구
2016 .12
의문형 종결어미 ‘-지’의 의미·화용적 기능의 분화
어문연구
2018 .01
명제의 정보 지위와 정보구조의 재조정: ‘-지’, ‘-잖-’, ‘-거든’을 중심으로
언어과학연구
2021 .09
대화 장르 교육을 위한 ‘반응으로서의 말하기’
화법연구
2018 .01
The Role of Questions in Managing Affect and Emotional Involvement in Japanese Conversations
Journal of Universal Language
2018 .09
ディスカッション場面における共感要求表明の日韓対照研究
일어일문학
2019 .11
Backchanneling in a Small Group Interaction : An Analysis of a Free Discussion in a Korean University Classroom
언어학 연구
2015 .10
한국인의 대화에 나타난 공감적 청자 반응 전략 연구
한글
2016 .06
1881년 어윤중이 쓴 「담초(談草)」의 특징과 대담에 나타난 한·중·일의 정세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18 .06
인터뷰에서 나타난 수정 조직의 특성
영주어문
2019 .01
대화 촉진을 위한 공감적 청자 반응 전략 연구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015 .01
한국어 남성 교원의 여성스러운 말투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청자 변인 연구
언어와언어학
2017 .01
So as a Multifunctional Discourse Marker Used by Korean Speakers in English Conversation
언어과학연구
2015 .12
치유 내러티브로서 공감적 대화에 관한 연구 - 『이슬람 정육점』, 『푸른 사자 와니니』와 연계하여 -
한국아동문학연구
2023 .11
사실성 부사 ‘정말’과 ‘사실’의 구어에서의사용 양상과 기능
언어와 문화
2024 .08
Pattern Recognition Modeling of Korean listeners’ perception of American English Monophthongs
언어와언어학
2015 .01
중국어 초급 교재 회화문의 대화개시 연구
중국어교육과연구
2015 .06
日韓語のナラティブにおける話し手の発話類型 ₋聞き手の反応を誘導する発話を中心に₋
일어일문학연구
2021 .11
한일양국 대학생 대화에 나타나는 스피치레벨의 운용 - 폴라이트니스(politeness)의 관점에서 -
일어일문학연구
2019 .01
日韓語の日常会話における聞き手の理解表現
일본학보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