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한국디자인문화학회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17권 제1호
발행연도
2011.3
수록면
561 - 573 (13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생활수준의 향상, 소득수준 증가, 여성들의 사회진출 증가로 미적욕구의 표출의 하나인 화장품 역시 많은 발전을 거듭해왔다. 화장품에 대한 기대심리가 높아지고 보습과 보호의 단순개념에서 다기능을 포함한 효능과 효과를 중요시하는 기능성 화장품의 수요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피부 관리실에서 노화 및 주름 개선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화장품의 성분현황과 만족도를 조사하여 사용성분의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광주지역 3인 이상 근무하는 피부 관리실의 피부관리사를 대상으로 연구방법은 1차 설문지와를 통하여노화 및 주름개선을 목적으로 관리실에서 사용되고 있는 화장품 브랜드의 선호도 및 제품선택 시 중점요소와 효과를 조사한다. 둘째, 설문에서 밝혀진 브랜드 선호도를 조사한 후 상위 10개의 제품 중 에센스, 크림, 팩 제품의 전 성분 현황과 노화 및 주름개선 화장품에 사용되고 있는 유효성분과 추출물, 방부제, 계면활성제, 보습제 및 컨디셔닝제, 오일 또는 알콜류, 기타 등으로 구분하여 사용되고 있는 성분을 조사하고자 한다. 셋째, 노화 및 주름개선 화장품의 성분과 지식에 따른 관리 만족도와의 관련성을 밝히고자 한다. 수집된 자료는 윈도우용 SPSS 11.0 통계 패키지를 이용해서 기술 통계 분석, 교차분석(cross-tabulation analy sis), T-TEST, 다중회귀분석을 실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화 및 주름개선 화장품을 선택할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로 화장품의 사용감이 26명(42.6%), 유효성분은 24명(39.3%)으로 나타났고 효과가 나타나는 시기는 또 4개월에서 6개월 사이가 26명(44.1%)로 나타났다. 둘째, 노화 및 주름개선을 위한 관리용 화장품의 선호 브랜드를 조사해본 결과 우선순위 10개 브랜드의 성분을 조사한 결과 에센스 21.7 ± 7.9개, 크림은 24.3 ± 8.9, 팩은 23.7 ± 10.3개의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효성분과 추출물은 브랜드별로 다양하게 나타났고 방부제는 메틸파라벤(Methyl Paraben), 계면활성제는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보습제와 컨디셔닝제는 글리세린(Glycerine), 유연화제로는 싸이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이 화장품에 가장 많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타성분으로는 오일이나 알콜류로는 비즈왁스(Beeswax), 실리콘유에는 디메치콘(Dimethicone), 점증제로는 카보머(Carbomer), 금속이온 봉쇄제로는 디소디움이디티에이(Disodium EDTA), 산화방지제로는 메에이치티(BHT)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음을 보였다. 다섯째, 노화 및 주름개선 관리를 위한 화장품의 만족도는 피부 관리 화장품에 대한 이해도(β=.013, t=.079, p>.05)에는 유의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피부 관리 화장품 성분에 대한 지식(β=.318, t=2.002, p<.01)과 만족도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노화 주름관리에 사용되는 화장품들은 특성상 보습제가 포함되어있는 화장품을 선택, 사용되고 있었으며 성분의 지식이나 이해도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