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구독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논문개요]
1. 들어가는 말
2. 주사파라는 반면교사
3. 헌법애국주의의 규범적-정치적 초점
4. ‘87년 체제’를 넘어서
참고 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내가 먹어치운 진보
제3시대
2017 .11
청년문화와 정치적 진보성은 어떤 관계였는가?
인물과사상
2016 .03
과연 진보의 시대인가
문화과학
2018 .09
대한민국의 법치민주주의는 살아있는가? : 헌법재판소의 통합진보당 정당해산판결을 중심으로
사회와 철학
2015 .10
민주공화주의 이념의 기원 : 20세기 초 아방가르드적 정치한류
철학
2015 .08
민주공화국과 역량강화의 정치
민족문화연구
2017 .01
진보의 범례적 귀납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발행, 박헌호 편저『백 년 동안의 진보』
비교한국학
2015 .01
진보정치 아포리아, 어디로 갈 것인가?
황해문화
2022 .09
돌봄의 정치: 무엇을 돌볼 것인가?
문화과학
2024 .12
2017-2022, 진보와 보수를 넘어
철학연구회 학술발표논문집
2017 .11
맑스주의와 진보 그리고 빼기의 정치
현대사상
2016 .09
분열성 법치주의와 저품질의 왜소화(矮小化)된 민주주의 : ‘좋은 민주주의’의 관점에서 본 통합진보당 해산 결정의 문제
사회와 철학
2015 .04
왕후이(王暉) ‘탈정치시대의 정치’ 소고
철학탐구
2015 .02
한국의 민주정치는 ‘좀비 민주정치’인가? : 선거법 개정을 중심으로
철학과 현실
2015 .06
J. 랑시에르의 대안의 정치와 현상학적 에토스* - 민주주의의 재정립에 관한 고찰
동서철학연구
2024 .06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와 한국의 헌법 이념 : 헌법 전문 개정의 쟁점을 중심으로
인간·환경·미래
2019 .10
정치문화의 관점에서 본 한국의 민주주의 정치교육
지식의 지평
2021 .05
민주공화국의 입헌정치에 있어서 헌법교육/민주시민교육 : 그 특정한 위상의 규명과 추진 방안의 제안
사회와 철학
2017 .10
지방정치의 위기와 지역민주주의 : 부산을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
2015 .08
공화민주주의와 뉴미디어 : SNS를 통한 시민의 정치참여를 중심으로
철학연구
2015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