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ABSTRACT
1. 머리말
2. 1990년대 이후 한·중 멜로드라마 영화의 변화 양상
3. 한·중 멜로드라마 영화 비교
4. 맺음말
참고자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Genre and Gender, Culture and Ideology - The American Occupation of Japan and Japanese Mélodrame -
예술과 미디어
2016 .01
해방 공간, 멜로드라마 영화의 수사학 - <해연>(1948) 이후 제작된 현존 멜로드라마를 중심으로-
아시아영화연구
2020 .01
다큐멘터리와 멜로드라마의 조우(遭遇)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를 중심으로-
현대영화연구
2016 .01
한국영화사에서 서양의 문예(文藝)는 무엇이었는가?
영화연구
2020 .12
탈제도화된 가족과 대중의 감정 구조 : 1960년대 중후반 한국 영화의 균열된 가족 서사와 의미
영화연구
2015 .06
타락한 여성 / 고아 청년 : 사회적 트라우마와 1960년대 멜로드라마
현대영화연구
2015 .01
Production Report on the Short Film Jjijiri & Mojiri
TECHART: Journal of Arts and Imaging Science
2017 .05
스토리를 기반으로 한 한류영상콘텐츠 개발연구 : 중국영화를 중심으로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2015 .03
<바바라>(Barbara)에 나타난 고고학적 태도와 크리스티안 페촐트의 영화적 지향
현대영화연구
2024 .06
Memory as Melodrama or Noir : Remembering Modern Korean History in Peppermint Candy (2000) and Memories of Murder (2003)
씨네포럼
2016 .12
1950년대 한국 멜로영화의 양식적 특성 연구 -촬영과 조명 스타일을 중심으로-
아시아영화연구
2016 .01
중국 개혁개방 시기 일본영화의 문화적 수용
영화연구
2025 .03
태양계에 비유한 1990년대 한국영화 지형: 밈(meme) 개념으로
현대영화연구
2022 .02
한국 TV 멜로드라마의 ‘감정’의 수행 방식 연구 -<태양의 후예>, <시그널>, <슬프고 찬란하神, 도깨비>의 ‘배우 연기’를 중심으로-
드라마연구
2021 .02
다이렉트 시네마와 멜로드라마 비교연구: <스텔라 달라스>와 <축 어머니 날>, <세일즈맨>을 중심으로
영상예술연구
2015 .01
2010년대 한국장르영화에 나타난 감정의 영화적 지도그리기: <건축학개론>(2012)의 집에 대한 (빈)공간을 중심으로
영화연구
2019 .12
교육영화란 무엇인가 : 교육영화의 개념과 수용
씨네포럼
2015 .12
한국전쟁기 중국에서의 북한영화에 관한 연구
현대영화연구
2016 .01
영화법 이전 반공영화 표상의 불균질성 : 한국전쟁에 대한 이미지를 중심으로
영화연구
2021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