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요약
1. 서론: 한국 영화의 문화 정치적 쟁점, ‘가족’
2. 가족의 영화적 재현: 가족 판타지의 파괴와 위반
3. 탈제도화된 가족 서사: 소외된 대중 감정의 이완과 조절
4. 결론: 1960년대 중후반 한국 영화와 가족 서사의 의미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해방 공간, 멜로드라마 영화의 수사학 - <해연>(1948) 이후 제작된 현존 멜로드라마를 중심으로-
아시아영화연구
2020 .01
다큐멘터리와 멜로드라마의 조우(遭遇)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를 중심으로-
현대영화연구
2016 .01
1990년대 이후 한국과 중국 멜로드라마 영화 비교 연구 : 한국영화 〈클래식〉과 중국영화 〈운수요 云水谣〉를 중심으로
영화중국
2015 .12
가족, 가깝고도 낯선
월간사진
2021 .01
가끔, 가족
월간사진
2021 .01
최근 한국만화의 가족 재현 연구 -정상 가족의 위기와 다양한 형태의 가족 재현을 중심으로-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2023 .03
타락한 여성 / 고아 청년 : 사회적 트라우마와 1960년대 멜로드라마
현대영화연구
2015 .01
탈가정 청소년 유사가족의 재구성과 해체 : 2014-2021년 한국 영화를 중심으로
영상문화콘텐츠연구
2024 .06
사이코드라마가 장애인가족의 가족탄력성과 가족적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2017 .01
멜로드라마의 '감정 구조' 형성 방식 연구 - TV 드라마 <응답하라 1988>을 중심으로
드라마연구
2017 .01
Genre and Gender, Culture and Ideology - The American Occupation of Japan and Japanese Mélodrame -
예술과 미디어
2016 .01
가족 : 일그러진 가족, 기울어진 집의 초상
공연과이론
2017 .06
공동체, 가족 말고
월간미술
2023 .07
Memory as Melodrama or Noir : Remembering Modern Korean History in Peppermint Candy (2000) and Memories of Murder (2003)
씨네포럼
2016 .12
냉전과 근대화의 스펙터클한 유람 그리고 지워진 폭력의 민낯-영화 <팔도강산> 시리즈를 중심으로-
현대영화연구
2018 .01
Family
한국디자인학회 국제초대전도록
2022 .05
〈응답하라〉 시리즈의 도식적 내러티브를 통해 본 한국 사회의 문제해결 모델
애니메이션연구
2017 .12
미시 공간의 출현과 비판적 재현 -1980년대 후반-1990년대 중반 한국 영화 공간의 의미-
현대영화연구
2017 .08
한국영화 속 다문화 가정의 재현 방식에 관한 연구- 영화 <완득이>를 중심으로 -
예술과 미디어
2015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