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서론
Ⅱ. 공공저작물의 의미와 취지
Ⅲ. 공공저작물 자유이용의 법리
Ⅳ. 지식재산에 대한 특칙
Ⅴ. 대부
Ⅵ. 자유이용의 의미
Ⅶ. 결론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대법원 2000. 2. 11. 선고 99다61675 판결
[1] 국유재산법 제31조, 제32조 제3항, 산림법 제75조 제1항의 규정 등에 의하여 국유잡종재산에 관한 관리 처분의 권한을 위임받은 기관이 국유잡종재산을 대부하는 행위는 국가가 사경제 주체로서 상대방과 대등한 위치에서 행하는 사법상의 계약이고, 행정청이 공권력의 주체로서 상대방의 의사 여하에 불구하고 일방적으로 행하는 행정처분이라고 볼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3. 1. 24. 선고 2012다79828 판결
공유재산 및 물품 관리법은 제81조 제1항에서 공유재산 등의 관리청은 사용·수익허가나 대부계약 없이 공유재산 등을 무단으로 사용·수익·점유한 자 또는 사용·수익허가나 대부계약의 기간이 끝난 후 다시 사용·수익허가를 받거나 대부계약을 체결하지 아니한 채 공유재산 등을 계속하여 사용·수익·점유한 자에 대하여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공유재산 등의 사용료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1. 6. 15. 선고 99두509 판결
[1] 공유재산의 관리청이 하는 행정재산의 사용·수익에 대한 허가는 순전히 사경제주체로서 행하는 사법상의 행위가 아니라 관리청이 공권력을 가진 우월적 지위에서 행하는 행정처분이라고 보아야 할 것인바, 행정재산을 보호하고 그 유지·보존 및 운용 등의 적정을 기하고자 하는 지방재정법 및 그 시행령 등 관련 규정의 입법 취지와 더불어 잡종재산에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5. 10. 2.자 94마2217 결정
저작인격권은 저작재산권과는 달리 일신전속적인 권리로서 이를 양도하거나 이전할 수없는 것이므로, 비록 그 권한 행사에 있어서는 이를 대리하거나 위임하는 것이 가능하다 할지라도 이는 어디까지나 저작인격권의 본질을 해하지 아니하는 한도 내에서만 가능하고 저작인격권 자체는 저작권자에게 여전히 귀속되어 있으며, 구 저작권법(1986.12.31. 법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8. 2. 27. 선고 97누1105 판결
[1] 공유재산의 관리청이 행정재산의 사용·수익에 대한 허가는 순전히 사경제주체로서 행하는 사법상의 행위가 아니라 관리청이 공권력을 가진 우월적 지위에서 행하는 행정처분으로서 특정인에게 행정재산을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설정하여 주는 강학상 특허에 해당한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6. 2. 13. 선고 95누11023 판결
[1] 국유재산의 관리청이 행정재산의 사용·수익을 허가한 다음 그 사용·수익하는 자에 대하여 하는 사용료 부과는 순전히 사경제주체로서 행하는 사법상의 이행청구라 할 수 없고, 이는 관리청이 공권력을 가진 우월적 지위에서 행한 것으로서 항고소송의 대상이 되는 행정처분이라 할 것이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6. 3. 9. 선고 2004다31074 판결
[1] 국유재산 등의 관리청이 하는 행정재산의 사용·수익에 대한 허가는 순전히 사경제주체로서 행하는 사법상의 행위가 아니라 관리청이 공권력을 가진 우월적 지위에서 행하는 행정처분으로서 특정인에게 행정재산을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설정하여 주는 강학상 특허에 해당한다.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공공저작물 자유이용 제도에 대한 연구
정보법학
2015 .01
공공저작물의 자유이용과 관련된 법적 문제 및 그 대응방안
계간 저작권
2015 .01
공공저작물의 공정한 이용을 위한 법제간 정합성 확보방안- 저작권법과 공공데이터법을 중심으로 -
인권과 정의
2020 .01
논문의 인용 방식에 따른 저작권법 위반 여부에 관한 고찰 - 국내 국책기관 연구원이 작성한 외국판례보고서를 각주로 표기하여 인용한 경우에 관하여 -
동북아법연구
2024 .01
保护作品完整权的反思及完善 : 以76个案例数据为基础
법학연구
2018 .12
공공저작물 개방 현황 및 과제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대회자료집
2019 .11
복수의 저작자가 관여한 저작물에 관한 검토- 대법원 2016. 7. 29. 선고 2014도16517 판결 -
법조
2017 .01
극저작물과 저작권
[KIIP] 한국지식재산연구원 도서DB
2017 .12
회복저작물을 원저작물로 하는 2차적저작물의 이용행위
정보법학
2022 .04
안무저작물의 성립요건과 침해 판단에 관한 소고
계간 저작권
2024 .06
동물 캐릭터 도안의 사례들을 통한 응용미술저 작물과 순수 미술저작물의 경계에 관한 고찰 : 대법원 2014. 12. 11. 선고 2012다76829 판결을 중심으로
지식재산연구
2015 .06
2차적저작물작성권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계간 저작권
2016 .01
편집저작물의 특수성에 관한 고찰- 창작성과 보호범위를 중심으로 -
홍익법학
2015 .01
대학교수의 업무상저작물에 관한 연구 -각 대학의 지식재산권 규정을 중심으로-
민사법의 이론과 실무
2020 .01
미국 판례상의 변형적 이용에 대한 연구
계간 저작권
2015 .01
미술저작물의 특징과 동일성 유지권에 대한 법적 고찰
재산법연구
2021 .01
교육 목적의 저작물 이용의 공정이용 판단요소 : 미국 판결의 성향 및 함의
한국언론학보
2016 .10
시각장애인의 저작물 접근권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언론과법
2018 .08
중국의 영상저작물 저작권 보호에 관한 소고 : 한·중 저작권 관련 법제 비교를 중심으로
법학연구
2017 .12
저작물 이용 가이드북
[KIIP] 한국지식재산연구원 도서DB
2016 .12
0